2009년, &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에 대한 짧은 생각. ------------------------------------------------------------ [A. 서론] 철학 내에서 오랫동안 가다듬어 오던 심리철학적, 인식론적 문제들에 대한 물음들에 19세기 중엽 및 후반 당시의 유럽의 실험생리학, 실험물리학의 실험방법을 적용하여 1870년대 후반에 심리학이 실험 과학으로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새로 형성되어 출발한지도 어언 130년이 경과하였다. -1875년: Leipzig: 철학과 교수였던 Wilhelm Wundt가 ; 심리학 실험을 예시함 같은 해에 미국에서도 William James가 심리학 실험을 위한 방 마련 (Harvard 대학) -1879: the very first formal psychological laboratory 출발 -- 실험실 공식명칭: Psychologische Institut: 공식행정단위, 몇 개의 실험실 --당시 Leipzig대학의 심리학 실험실은 11개 실험실 (: 130년이나 지난 현재의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 심리학과 현황을 능가함) 또한 그 후 약 80여년이 지난 1956년 MIT에서 개최되었던 정보이론 심포지엄을 기폭제로 하여 인간의 Mind와 기계 Intelligence에 formal한 접근의 정보처리적 틀을 적용하여 인지주의, 인지과학이 출발한지도 50여년이 경과되었다. 탄생한지 130여 년이 지난 심리학, 50여 년이 지난 인지과학이 현재 겉으로 뚜렷하게 잘 드러나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는 하나의 변혁을 겪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이 틀릴 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편견으로는 1950년대 후반에 인지과학의 탄생에 버금가는 움직임이 지금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체화돤 마음 (Embodied Cognition, Embodied Mind) 접근이라고 불리는 이 접근은, 심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 변혁은 1. 1870년대 후반에 분트 등이 심리학을 경험과학으로 출발시킴, 2. 1910년 대 이후의 미국 중심의 행동주의 심리학의 대두와 행동주의적 틀의 확산, 3. 1890년대에서 1900년대에서 형성된 Freud의 심리역동(정신분석)적 접근의 20세기 초엽의 확산, 4. 1950년대 및 1960년대의 인지주의, 인지심리학의 형성과 확산, 5. 1980 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신경망적 접근의 연결주의적 접근의 확산, 6. 1980년대 후반과 1990 년대를 중심으로 한 신경과학적, 신경심리학적 접근의 확산. 의 여섯 단계의 패러다임적 변화를 지나 새로 형성되는 제 7의 변혁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더 엄밀히 이야기하여 위의 5와 6을 하나의 같은 패러다임 범주로(제5의) 묶어 생각한다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체화된 인지(마음)변혁’은 제 6의 변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지과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1. 1950년대 후반에서 이후 계속 진행되어 온, 인간의 마음을 컴퓨터 메타포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온, 고전적 인지주의 (Classical Cognitivism) 2.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추상화된 이상적, 이론적 뇌의 특성을 모델링한 연결주의와 그 이후에 실제적 구체적 뇌의 구조와 mechanism 탐구를 통해 마음의 작동원리를 밝히려 한 인지신경과학 (Cognitive Neuroscience) 접근 3. 마음의 작동 원리를 뇌만도 아니고, 몸과 환경의 연결 전체에 기초시키고자 하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 의 제 3 단계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제 3 단계의 '체화된 인지' 접근은 그 접근의 강력함의 정도에 따라서 다음의 두 개의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지난 세기에 인공지능을 강한 인공지능(strong AI), 약한 인공지능(weak AI) 접근이 나뉘어 졌듯이; 강인공지능 - 인공지능 연구는 마음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약인공지능-인공지능 연구가 마음에 대한 모델까지 제시할 수 있다기보다는 그저 효율적인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드는 데에 목적이 있다) 1. 고전적 인지주의나 인지신경과학적 접근의 부족함을 보완하여 마음의 본질이, 표상(representation)을 형성, 저장하고 활용하는 과정으로 보는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 관점을 기본 틀로 인정하고 단지 그 표상이 어디에서 오는가 하는 표상의 원천(source)을 추상적인 formal 한 명제적 상징(기호)가 아니라, 감각운동(sensory-motor)적 기반, 몸의 활동 정보에 근거함을 강조하려는 ‘약한 체화된 인지 접근’과 2. 그것이 아니라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적 접근의 전반적 문제점 특히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가 특정 시점의 정적인(static) 표상 추상화된 표상, 통사적 언어적 명제적 표상을 강조하기만 한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 틀로서는 실제로 일어나는 인간활동의 역동적인 측면에 기초한 인간 마음의 본질을 살릴 수 없다고, 이론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고 보며 한 시점에서의 표상이 아니라, 이어지는 연속된 시점 상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궤적을 그리는 역동적 활동으로서의 마음, 즉 마음(mind)을 역동적 체계(dynamic systems)로 보아야 하며 그러한 측면이 기술되고 설명되는 학문적 접근을 하기 위하여는 [1] 뇌를 포함하는 몸과 [2] 환경(각종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과, [3] 그리고 이 둘이 연결되는 상호작용적 활동(interactivity)의 세 측면이 서로 괴리되지 않고, 표상이 없이 하나의 역동적 전체로서 개념화되는 그러한 접근을 하여야 함을 주장하는 ‘급진적 체화된 인지 (Radical Embodied Cognition) 입장’ (http://edisk.fandm.edu/tony.chemero/rec/Chapter2.pdf) 의 두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 B. 급진적 체화된 인지 틀의 기본 입장 약한 체화인지 입장은 체화와 동역학적 설명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표상주의를 인정하는 데 반하여 강한, 급진적 체화인지 입장은 다음의 주장과 같이 반(비)-표상주의가 핵심이다. 주장1: Representational and computational views of embodied cognition are mistaken. 주장2: Embodied Cognition is to be explained via a particular set of tools T, which includes dynamical systems theory. 주장3: The explanatory tools in set T do not posit mental representations. ------------------------------------------------------------------- C. 인지과학 관련 여러 응용 분야에서, 체화된 입장 틀에 입각하여 수정 제안되는 시도들 약한 체화인지 입장이나 강한(급진적) 체화 입장이나 기존의 전통적, 고전적 인지주의의 패러다임을 수정하는 것이다 그 수정의 정도가 어느 정도까지인가는 다르지만. 이 새로운 입장을 응용하는 현장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신경쓰지 않고 (주로 첫 번째 체화된 인지 접근의 입장을 취하면서) 체화된 인지 이론틀에 바탕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새 접근을 시도 하고 있다 <교육 영역> -Cognition has for a long time been viewed as a process that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utational symbol manipulation, i.e. a process that takes place inside people’s heads and is largely unaffected by contextual aspect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way researchers look at and study human cognition. -These changes also have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Situated learning is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sociocultural aspects of cognition and learning are strongly emphasized, that is, the context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is an important part of learning activity. -The concept of activity is central to situated learning theories, but activity has been considered an exclusively sociocultural process in which the body only plays a minor role. -In embodied cogni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that mind and body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and cannot be viewed in isolation. -Findings in cognitive neuroscience provide additional evidence that cognition is tightly linked to perception and action. - The analysis suggests that, like individual human conceptualization and thought, situated learning is in fact deeply rooted in bodily activity. -In social interactions the body provides individuals with a similar perspective on the world, it functions as a means of signalling to others what cannot (yet) be expressed verbally, and it serves as a resonance mechanism in the understanding of others. http://www.essays.se/essay/f5b5300a9d/ <인공지능 일반 영역> -But since the mid-1980s a new approach emerg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bodiment and situatedness and since then terms like embodied cognition, embodied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and more apparent in discussions of cognition. -As embodied cognition has increased in interest so have the notions of embodiment and situatedness and they are not always compatible. -This report has found that there are, at least, four notions of embodiment in the discussions of embodied cognition: software embodiment, physical embodiment, biological embodiment and human(oid) embodiment. http://www.essays.se/essay/f4ebecdb67/ -Embodied interaction is related to embodied and distributed cogn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distinction “potentiality/actuality” is outlined as an approach to the concept of “reality” in HCI and research on presence and copresence. Within this framework presence and copresence are specified in connection with an agent’s potentiality to act upon its environment, i.e. to actively explore and manipulate its environment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m856512u04702707/ Designing with Blends: Conceptual Foundation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Software Engineering (SE)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mind in cognitive science over the past 25 years creates new ways to think about the interaction of people and computers. -New ideas about embodiment, metaphor as a fundamental cognitive process, and conceptual integration and ... - a blending of older concepts that gives rise to new, emergent properties ...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software engineering (S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If once computing was based on algorithms, mathematical theories, and formal notations, now the use of stories, metaphors, and blends can contribute to well-informed, sensitive software design. - In Designing with Blends, Manuel Imaz and David Benyon show how these new metaphors and concepts of mind allow us to discover new aspects of HCI-SE. http://www.powells.com/biblio?isbn=0262090422 Since the early days, cognitive science has been successfully influencing how we think about HCI. Therefore we should also expect more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science, namely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 to be useful in HCI. The focus of the talk is on image schema theory. http://www.computing.open.ac.uk/PublicWeb/computing/website/news_events.nsf/(httpEvents~Monthly)/5782AA91FE55F3D58025731B004815F7?OpenDocument <로보틱스 영역> -Moreover, this view is suggested as a viable route for situated robotics, which due to its rejection of traditional notions of representation so far has mostly dealt with more or less reactive behavior, to scale up to a cognitive robotics, and thus to further contribute to cognitive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higher-level cognition http://www.essays.se/essay/d681ae4bf7/ - 로보틱스 영역에 대하여는 할 이야기가 많으나 줄인다. < 제품 디자인 영역> -This article explains how embodied cognition and perceptual symbol systems enable product designers to influence consumers by communicating key perceptual features through subtle changes in product design elements. -In this way, managers can change perceptual design elements to support line extension strategies. 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18699494/abstract?CRETRY=1&SRETRY=0 <경영, 경제학 영역> -It yields a basis for a cognitive theory of the firm, with the notion of cognitive distance between people, the resulting view of organization as a cognitive focusing device, the need for external relations with other organizations to compensate for organizational myopia, and the notion of optimal cognitive distance between firms for innovation by interaction.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03751 <기타 심리학, 인지과학의 여러 영역 (인지발달, 발달과학, 언어습득, 감각-지각 영역 등) 및 융합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응용 내용은 후에 다시 언급하기로 하고 생략함,> ------------------------------------------------------------------- D. 잠정적 종합: 짧은 생각 앞서 언급한 바처럼 체화된 인지 접근은 심리학, 인지과학의 기존의 이론틀을 대폭 수정하는 그러한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이론틀이 심리학, 인지과학의 틀을 점진적으로 상당히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체화된 인지의 두 부류 중에서 어떤 접근이 우세할 것인가는 앞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더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겠지만 (인지과학철학 과 이론심리학 등에서) 직관적으로 예상되기는 앞으로의 심리학, 인지과학이 '급진적 체화된 인지'의 접근보다는 '약한 체화된 인지' 접근을 취하리라 생각된다. 이것은 과거에 신경망적 접근인 연결주의가 빠르게 떠올랐을 때와 사정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를 대체할 듯 여겨졌던 80년대의 연결주의도 그 자체의 문제점과 한계가 드러나면서 낮은 수준의 인지 현상 설명에는 주로 연결주의적 접근을 적용하고 고차 수준의 인지 현상 설명에는 고전적 인지주의(기호(상징)표상주의, 계산주의)를 계속 적용하는 타협적인 혼혈적인 hybrid systems 의 연구접근이 대세를 이어 왔던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체화된 인지 접근이 점점 더 그 영향이 증가, 확산되고 이론적으로 세련화되더라도 고전적 인지주의는 그대로 잔존하여 체화된 인지 접근이 설명하지 못하는 인지/마음의 영역을 설명하는 틀로 남아 있을 것 같다. 그렇기는 하지만 '체화된 인지' 접근의 떠오름은 심리학, 인지과학의 응용 영역에서 기존의 각종 인간-인공물 사의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접근, 연구틀을 크게 바꾸어 놓으리라고 본다. (아니 겉으로는 크게 변화한 것 같지 않더라도 적어도 기존에는 각종 인공물(소프트. 하드 인공물) 디자인 영역에서 -로보틱스 영역, 각종 디지털 기기의 소프트 및 하드 디자인 영역 포함 - 소위 예술가적 또는 공학자적 직관에 의하여 디자인 되던 영역들이 타당한, 적절한 학술적 이론적 틀이 인지과학에 의하여 주어진 형태로 진행되리라 본다) 또한 많은 사회-문화적 인간 활동 및 제도에 대한 설명과 이해가 이 새 틀에 의하여 달라지리라 본다. 그러한 것을 고려하여 볼 때에 지난 2008년 12월 12일 한국실험심리학회 강연에서 밝힌 바처럼 그러한 시점에서 심리학/인지과학이 전통적 심리학/인지과학의 형태로 남아 있을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심리학/인지과학보다 더 넓은 틀로써 사회과학, 공학, 인문학, 생명과학 등을 연결하는 종합적 psychological-cognitive Science로 변형될 것인가 그때의 심리철학적, 과학철학적, 이론심리학적 중심 이슈들은 무엇이 될 것인가는 현재의 시점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것 같다. 하여간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이 과거나 현재의 심리학, 인지과학과는 크게 다른 모습이 될 것이고 그것이 인간사회 일반 특히 디지털문화 관련하여 크게 영향 줄 것임은 확실한 것 같다 그러한 미래 변화 시점에서 해외에서는 심리학 전공이 없는 대학이 거의 없고, 심리학 전공이 학부 전공들 중에서 첫째 아니면 둘째로 선호되는 해외 대학 상황과는 달리 아직도 심리학 전공이 인문학으로 분류되거나 심리학 전공이 없는 대학이 많고 그리고 심리학 전공이 홀대받는 분위기의 한국 상황, 그리고 인지과학이 이미 제 3단계에 진입하고 있는데도 아직도 인지과학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를 모르며 그 1단계조차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던 한국의 교육계, 과학기술계, 응용산업계가 그 미래 시점에서 어떻게 이러한 해외 변화 조류에 준비 안 된 채 어떻게 적응, 대처할지 염려스럽다 그러한 낡은 틀의 한국에서 심리학, 인지과학을 배우고 공부하여야 할 많은 학생들, 연구자들, 관련 기업 종사자들은 그만큼 스스로 알아서 공부하고 하여야 할 일이 많아지는 것 같다. 새해와 미래에 대비하여 학생이건, 연구자건, 관련 기업체 인력이건, 매스미디어 종사자이건, 관련 국가 기관원이건, 이러한 조류를 예감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만큼 하여야 할 일이 많은 것 같다. 그렇게 하는 것이 심리학, 인지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지적으로 깨어있는 사람으로 미래를 살아가는 길인 것 같다. 2009년 1월 1일 이정모 |
Search This Blog
Wednesday, December 31, 2008
2009년, &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에 대한 짧은 생각
Subscribe to:
Posts (Atom)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 Facebook: (Jung-Mo Lee)
- Home in Academia site :(Jung-Mo Lee)
- i- Naver Blog (Jung-Mo Lee) (Korean; 한글)
- Jung-Mo Lee 's SKKU homepage ( in Korean)
- Jung-Mo Lee 's VITAE/ homepage (in English)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SCBP)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KSCS
- 인지과학 설명: 1. http://cogpsy.skku.ac.kr/cwb-data/data/cogscience/1-cognisci-intro-hwptxt-jml1.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