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December 20, 2008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책 사이트/ 각 챞터다운가능

Franklin and Marshall College 심리학과의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Studies of Mind Program
조교수인
Tony Chemero 교수가 MIT 출판사에서

"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라는 책을 출판하는데
이 책의 모든 챞터들이 다음 사이트에 올려져 있습니다

http://edisk.fandm.edu/tony.chemero/rec/index_files/slide0003.htm
---------------------------------------------------------------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Anthony Chemero

<목차>

Preface: In Praise of Dr. Fodor

PART 1: STAGE SETTING

Chapter 1: Hegel, Behe, Chomsky, Fodor
Chapter 2: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PART 2: REPRESENTATION AND DYNAMICS
Chapter 3: Theories of Representation
Chapter 4: The Dynamical Stance
Chapter 5: Guides to Discovery

PART 3: ECOLOGICAL PSYCHOLOGY
Chapter 6: Information and Direct Perception
Chapter 7: Affordances, Etc.

PART 4: PHILOSOPHICAL CONSEQUENCES
Chapter 8: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Meets Neurophilosophy
Chapter 9: The Metaphysics of Embodiment
Chapter 10: Coda

ㅇ이 책의 저자의 주장은 ->
"Jerry Fodor is my favorite philosopher. I think that Jerry Fodor is wrong about nearly everything."
라고 주장하는데
모든 장의 자료를 공개한 Chemero 교수에게 감사한 마음입니다

인지과학과 상호작용성, 미디어아트, 체화된인지 개념의 연결 책 소개

http://cogpsy.skku.ac.kr/study/study.html 에서 이미
2008. 11. 29일에 소개한 파일을 여기에도 올립니다

인지과학과 상호작용성, 미디어아트, 체화된인지 개념의 연결 책 소개

상당한 지적 흥분을 저에게 준 책과 글(챞터)을 소개합니다.

인지과학의 변화하는 틀, 인간-인간, 인공물-인간의 상호작용, activity, new media art 등에 대한
새로운 개념 설정을 하게 하는 책입니다.

관련 내용이 웹에서 다운 가능하지 않으리라는 저의 지난주까지의 지레 짐작과는 달리
전체 overview를 제시하는 Seifert 교수의 글 챞터가 다운로드 가능한 파일로 공개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Seifert 교수에게 대하여 정말 고마운 마음이 듭니다.
이 새로운 관점에 대하여 직접 설명하여 주시고 출간된 책을 접할 수 있게 하여
지레짐작을 넘어서 다시 웹을 검색할 생각을 하게 단초를 제공하여 주신 김진현 박사님께도 고마운 마음입니다.

이곳을 찾는 분들이 이번 주말에 아래 관련 자료를 보시고 이 주제에 대하여
새로운 보다 넓은 관점을 형성하시기 바랍니다.
Seifert 교수관련 다른 자료들을 웹에서 더 섭렵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전에 이 홈에서 소개되었던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15&db=newarticle&backdepth=1

다운로드 가능한 챞터글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n Empirical Methodology in Research on Artistic Human-Computer and Human-Robot Interaction
도 보시고,

김진현 박사와 Seifert교수 팀의 관련 최근 연구와 글도 섭렵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 책 내용 ]

http://www.transcript-verlag.de/ts842/ts842_1.pdf
에 소개되어 있는 금년 2008년에 출간된 책

편집자: Uwe Seifert, Jin Hyun Kim, Anthony Moore (eds.)
책 제목: Paradoxes of Interactivity Perspectives for Media Theory,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Artistic Investigations

책에 대한 짤막한 소개:
Current findings from anthropology, genetics, prehistory, cognitive and neuroscience
indicate that human nature is grounded in a co-evolution of tool
use, symbolic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al transmission.
Interactivity is a key for understanding the new relationships formed by humans
with social robots as well as interactive environments and wearables
underlying this process. Of special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interactivity
are human-computer and human-robot interaction, as well as media theory
and New Media Art. »Paradoxes of Interactivity« brings together reflections
on »interactivity« from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interplay of
science and art, and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artistic applications,
especially in the realm of sound.

이 파일의 페이지 2-3에 있는 목차를 훑어보시고
4쪽 부터 있는 Seifert 교수의 다음의 Overview 챞터글을 읽어보세요
많은 지적 자극의 단서를 발견할 것입니다

Uwe Seifert 교수의 글 제목: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MACHINES: A PARADOX OF INTERACTIVITY
Uwe Seifert

===================================================================

이 영문 글을 읽다가 혹시 한글로 된 배경지식 자료를 보면 좋겠다는 분은
다음의 저의 자료를 제시된 차례로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

[1].
2001년 대우총서, '인지심리학' 책의 마지막 장인 14장의 일부 내용
http://cogpsy.skku.ac.kr/cwb-data/data/newarticle/14장-인지심리학-종합-부분pdf.pdf

[2].
사이버 인지심리학의 개념적 틀의 재구성: 인공물과 인지의 공진화. 한국심리학회wl: 실험, 16, 4, 365-391. [이정모, 이건효, 이재호]. (2004. 12. 30.) )
A Conceptual Reformulation of the Cognitive Psychology on Cyber Space: Co-evolution of Artifacts and Cognition
- http://cogpsy.skku.ac.kr/data/data/04-1230사이버인지심리.htm

[3].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재구성 (II): 인지과학적 접근에서 본 ‘마음’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07, 26, 2, 1-38. (이정모) (2007. 12.)
http://blog.naver.com/metapsy/40047480637


[4].
인지과학의 전개와 미래 융합학문: 인지(COGNO)로 모인다
- 2008년 6월 12일, 미래대학과 융합학문 심포지움 발표 - 서울대학교 호암회관
- http://blog.naver.com/metapsy/40052188166


기타 부분적으로 공개된 자료인 다음의 파워포인트 자료들을 참고하셔도...

[a]: 2002. 5. 24.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마음, 인간, 사회의 이해' 심포지움. '마음의 재개념화: 인지과학적 재구성'.(이화여대 포스코관 B153; 1;30 PM)
http://cogpsy.skku.ac.kr/data/data/(0524이대-이정모3).ppt ((ppt 42개)
-* 사이트 링크를 클릭하지마시고 ... .ppt 까지 복사(캪쳐)하여 사이트 연결하여 자료를 보세요. 지금 ppt 파일을 보니 그때 이야기를 하다 만 느낌이 드는군요

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 접근의 공통점, 차이

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 접근의 공통점, 차이

웹에서 보면 Fred Keijzer 교수의 다음 논문이 있습니다.
학술지 Philosophical Psychology에 출간될 논문인데, 그 결론 부분이 이 홈을 찾는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Keijzer 교수에게 메일을 보내 결론 부분을 옮겨 담는 것을 허락 받아 이곳에 올립니다
전통적 행동주의와 체화된 인지 접근의 차이에 대하여 이 결론 부분의 저자의 견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홈 독자들을 위하여 논문 옮겨쓰기를 허락해 준 Fred Keijzer 교수에게 감사드립니다.

----------------------------------------------------------------------------------
Theoretical behaviorism meets embodied cognition: Two theoretical analyses of behavior.

- Fred Keijzer
/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Groningen/ A-weg 30, 9718 CW Groningen/ The Netherlands
f.keijzer@philos.rug.nl
(To appear in Philosophical Psychology)

http://philosophy.eldoc.ub.rug.nl/FILES/root/Keijzer/Theoretical/Keijzer2005Theoretical.pdf

--------------------------------------------------------------------

체화된 인지 관점과 유사하다고 주장이 되는 Theoretical behaviorism 과 관련하여 이론적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접근의 두 접근의 유사성, 차이점을 기술하고 행동주의가 아닌 행동과학(behavioral science rather than behaviorism) 이 필요함을 주장함.
-------------------------------------------------------------------

결론 부분 (15-16 쪽)

Concluding

Behaviorism and embodied cognition both stress the importance of behavior when it comes to
conceptualizing cognition, or more generally the mind. The radical, behavioral systems, version
of embodied cognition that has been discussed here even shares with behaviorism a version of the

16
claim that cognition is constituted by behavioral - perception-action - phenomena (Hurley,
2001).

Nevertheless, I hope to have shown convincingly the dee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iews, even when behaviorism is updated and internal states become part of its explanatory
vocabulary, as in Staddon’s theoretical behaviorism. First, the two differ in the very conception
of behavior itself. Behaviorism highlights the functional regularities of behavior, while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stresses in addition the need for an anatomy of behavior: a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physical behavior itself. Second, behaviorism remains phrased in unidirectional
terms, while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builds on loopy structures where almost any
influence between components is reciprocal. Third, as a result of their different conceptions of
behavior, the approaches differ markedly in their estimation of the complexity involved in
behavioral phenomena. Fourth, theoretical behaviorism remains different from cognitive
approaches by keeping its models as simple as possible while still accommodating the behavioral
data. In contrast,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sets cognition itself in a behavioral context. Thus
it retains its identity even when the mechanisms involved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more
like classic cogn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heoretical analyses of behavior are systematic.
Behaviorism, including theoretical behaviorism, has a strong methodological motivation.
Behavior has always been the outwardly visible aspect of any internal - mental, cognitive or
neural- process. By targeting outward behavior, behaviorists kept a firm objective footing in
solid observable data and hoped to avoid questionable cognitive and overly complex neural
mechanisms. The motivation behind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is different. This approach
turns to behavior because it holds that outward perception-action coupling is an intrinsic aspect of
the processes making up intelligence. In addition, behavior also provides the whole evolutionary
rationale for any internal - mental, cognitive or neural - process. Behavior is set center stage
because it is of central importance for intelligence, irrespective whether it is easily accessible or
not. The seeming accessibility of behavior is even put into question as it turns out to be rather
difficult and complex to access the fleeting dynamical structures of behavior.

Having compared the two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behavior, I find any
methodological reasons for turning to behavior much less convincing than behavior’s intrinsic
importance. So, while treasuring its techniques and empirical knowledge, I want to conclude that
there is no question of a current return to behaviorism. Behaviorism remains as dead - or alive if
you want - as it ever was, even when the scientific study of behavior must be considered of
primary importance.

컴퓨터로 글을 읽는 것은 책으로 읽는 것보다 주의를 분산, 학습에 저해된다

같은 내용을 책으로 읽는 것과 컴퓨터 스크린으로 읽는 것은
어느 것이 더 학습에 도움이 될까?

이러한 질문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녔던 의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은 컴퓨터를 몇 살 때부터 많이 사용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요즈음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노르웨이의 Stavanger 대학의 읽기연구센터에 잇는
Anne Mangen 이라는 연구자가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008에 실린 내용을 보면

http://lesesenteret.uis.no/frontpage/news/article12534-3357.html

Journal reference:
Anne Mangen. Digital fiction reading: Haptics and immersion.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008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글을 읽는 것은 책으로 읽는 경우보다
뇌에 스트레스를 더 주면, 클릭, 스크롤링 등이 우리의 주의를 흩으러 놓는다고 한다.
불안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책장을 손가락으로 넘기는 것이 아니라 클릭, 스크롤링하는 것이
그리고 읽다말고 링크된 사이트를 찾아가보는 것이 (navigation)
또 글이 화면 양식에 맞지 않는 등의 요인이
우리의 심리적 과정에 방해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The digital hypertext technology and its use of multimedia
are not open to the experience of a fictional universe
where the experience consists of creating your own mental images.
The reader gets distracted by the opportunities for doing something else,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글을 읽는 것은
책에 익숙하였던 사람들ㄷ에게 새로운 심적 오리엔테이션(정향)을 일으키게 하고
책의 글에서의 물리적 측면의 완전성이나 구성요소들을 놓치게 된다는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에서 글을 읽는 것은
우리가 과거에 학교에 다니며 익숙하였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컴퓨터의 역동적이고 계속 움직이며 임시적인 것을 학습하게 하여
이는 우리가 그 글을 기억하는 데에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학습이란 새로운 컴퓨터 매체가 제시하지 못하는 바,
즉 시간과 심적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기에 오늘날에
ICT 테크놀로지를 강조하면서 무조건 모든 것을
유치원 때부터 컴퓨터, 온라인 적으로 가야한다고 많이들 이야기하는데
이러한 이야기는 IT를 사용한 학습 상황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에 근거하지 않은 채
그냥 테크놀로지의 장점 중심으로
몰아가려는 입장의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먼저 컴퓨터를 사용하여 글을 읽는 것이
유치원아동들부터 학습상황에서 무엇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냥 IT세대이니까 무조건 IT를 적용한 학습상황을 만들어 가여 한다는 것은
체계적이지 못하고 몰이식 사고일 수 있다.
이러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체계적 과학적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그에 앞서 찬성-반대 식으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

읽기란 무엇인가, 쓰기란 무엇인가, 인지적 학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심각한 고려가 필요하다.

물론 미래의 학생들은 아주 어릴 때부터 책보다 컴퓨터에 더 친숙할 수가 있다.

하여간에 이 모든 경우에 관여되는 인지학습 요인들, 발달적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 연구결과의 비교 평가 없이

무조건 IT시대이고 디지털시대이고, 대세가 그러니까
모든 연령의 모든 학습 상황에 컴퓨터 모니터로 글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식의 단순한, 몰이식 생각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글의 유형, 주제, 필요성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른 방식의 매체가 더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