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Wednesday, December 31, 2008

2009년, &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에 대한 짧은 생각


2009년, &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에 대한 짧은 생각.
------------------------------------------------------------
[A. 서론]

철학 내에서 오랫동안 가다듬어 오던 심리철학적, 인식론적 문제들에 대한 물음들에
19세기 중엽 및 후반 당시의 유럽의 실험생리학, 실험물리학의 실험방법을 적용하여
1870년대 후반에 심리학이 실험 과학으로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새로 형성되어 출발한지도 어언 130년이 경과하였다.

-1875년: Leipzig: 철학과 교수였던 Wilhelm Wundt가 ; 심리학 실험을 예시함
 같은 해에 미국에서도 William James가 심리학 실험을 위한 방 마련 (Harvard 대학)
-1879: the very first formal psychological laboratory 출발
 -- 실험실 공식명칭: Psychologische Institut:  공식행정단위, 몇 개의 실험실
 --당시 Leipzig대학의 심리학 실험실은 11개 실험실
   (: 130년이나 지난 현재의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 심리학과 현황을 능가함)

또한 그 후 약 80여년이 지난 1956년 MIT에서 개최되었던 정보이론 심포지엄을 기폭제로 하여 인간의 Mind와 기계 Intelligence에 formal한 접근의 정보처리적 틀을 적용하여
인지주의, 인지과학이 출발한지도 50여년이 경과되었다.

탄생한지 130여 년이 지난 심리학, 50여 년이 지난 인지과학이
현재 겉으로 뚜렷하게 잘 드러나지 않는다고도 볼 수 있는 하나의 변혁을 겪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이 틀릴 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편견으로는
1950년대 후반에 인지과학의 탄생에 버금가는 움직임이
지금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체화돤 마음 (Embodied Cognition, Embodied Mind) 접근이라고 불리는 이 접근은,

심리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 변혁은

1. 1870년대 후반에 분트 등이 심리학을 경험과학으로 출발시킴,
2. 1910년 대 이후의 미국 중심의 행동주의 심리학의 대두와 행동주의적 틀의 확산,
3. 1890년대에서 1900년대에서 형성된 Freud의 심리역동(정신분석)적 접근의
   20세기 초엽의 확산,
4. 1950년대 및 1960년대의 인지주의, 인지심리학의 형성과 확산,
5. 1980 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신경망적 접근의 연결주의적 접근의 확산,
6. 1980년대 후반과 1990 년대를 중심으로 한 신경과학적, 신경심리학적 접근의 확산.

의 여섯 단계의 패러다임적 변화를 지나 새로 형성되는 제 7의 변혁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더 엄밀히 이야기하여 위의 5와 6을 하나의 같은 패러다임 범주로(제5의) 묶어 생각한다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체화된 인지(마음)변혁’은 제 6의 변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지과학의 입장에서 본다면

1. 1950년대 후반에서 이후 계속 진행되어 온, 인간의 마음을 컴퓨터 메타포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온, 고전적 인지주의 (Classical Cognitivism)
2. 1980년대 중반 이후에 추상화된 이상적, 이론적 뇌의 특성을 모델링한 연결주의와
  그 이후에 실제적 구체적 뇌의 구조와 mechanism 탐구를 통해 마음의 작동원리를           밝히려 한 인지신경과학 (Cognitive Neuroscience) 접근
3. 마음의 작동 원리를 뇌만도 아니고, 몸과 환경의 연결 전체에 기초시키고자 하는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

의 제 3 단계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제 3 단계의 '체화된 인지' 접근은 그 접근의 강력함의 정도에 따라서
다음의 두 개의 접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치 지난 세기에 인공지능을 강한 인공지능(strong AI), 약한 인공지능(weak AI) 접근이 나뉘어 졌듯이; 강인공지능 - 인공지능 연구는 마음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약인공지능-인공지능 연구가 마음에 대한 모델까지 제시할 수 있다기보다는 그저 효율적인 인공지능 시스템을 만드는 데에 목적이 있다)

1. 고전적 인지주의나 인지신경과학적 접근의 부족함을 보완하여
  마음의 본질이, 표상(representation)을 형성, 저장하고 활용하는 과정으로 보는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 관점을 기본 틀로 인정하고
  단지 그 표상이 어디에서 오는가 하는 표상의 원천(source)을
  추상적인 formal 한 명제적 상징(기호)가 아니라,
  감각운동(sensory-motor)적 기반, 몸의 활동 정보에 근거함을 강조하려는
  ‘약한 체화된 인지 접근’과

2. 그것이 아니라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적 접근의 전반적 문제점 특히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가 특정 시점의 정적인(static) 표상
 추상화된 표상, 통사적 언어적 명제적 표상을 강조하기만 한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 틀로서는
 실제로 일어나는 인간활동의 역동적인 측면에 기초한 인간 마음의 본질을
 살릴 수 없다고, 이론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고 보며
 한 시점에서의 표상이 아니라, 이어지는 연속된 시점 상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궤적을
 그리는 역동적 활동으로서의 마음,
 즉 마음(mind)을 역동적 체계(dynamic systems)로 보아야 하며
 그러한 측면이 기술되고 설명되는 학문적 접근을 하기 위하여는

 [1] 뇌를 포함하는 몸과
 [2] 환경(각종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과,
 [3] 그리고 이 둘이 연결되는 상호작용적 활동(interactivity)의 세 측면이 서로 괴리되지 않고, 표상이 없이 하나의 역동적 전체로서 개념화되는 그러한 접근을 하여야 함을 주장하는
 ‘급진적 체화된 인지 (Radical Embodied Cognition) 입장’
(http://edisk.fandm.edu/tony.chemero/rec/Chapter2.pdf)


의 두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

B. 급진적 체화된 인지 틀의 기본 입장


약한 체화인지 입장은 체화와 동역학적 설명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표상주의를 인정하는 데 반하여
강한, 급진적 체화인지 입장은 다음의 주장과 같이 반(비)-표상주의가 핵심이다.

주장1: Representational and computational views of embodied cognition are mistaken.
주장2: Embodied Cognition is to be explained via a particular set of tools T, which includes dynamical systems theory.
주장3: The explanatory tools in set T do not posit mental representations.

-------------------------------------------------------------------

C. 인지과학 관련 여러 응용 분야에서, 체화된 입장 틀에 입각하여 수정 제안되는 시도들

약한 체화인지 입장이나 강한(급진적) 체화 입장이나
기존의 전통적, 고전적 인지주의의 패러다임을 수정하는 것이다
그 수정의 정도가 어느 정도까지인가는 다르지만.
이 새로운 입장을 응용하는 현장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신경쓰지 않고
(주로 첫 번째 체화된 인지 접근의 입장을 취하면서)

체화된 인지 이론틀에 바탕한 응용 연구를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새 접근을 시도 하고 있다

<교육 영역>
-Cognition has for a long time been viewed as a process that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utational symbol manipulation, i.e. a process that takes place inside people’s heads and is largely unaffected by contextual aspect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way researchers look at and study human cognition.
-These changes also have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Situated learning is a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sociocultural aspects of cognition and learning are strongly emphasized, that is, the context in which learning takes place is an important part of learning activity.
-The concept of activity is central to situated learning theories, but activity has been considered an exclusively sociocultural process in which the body only plays a minor role.
-In embodied cognition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awareness that mind and body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and cannot be viewed in isolation.
-Findings in cognitive neuroscience provide additional evidence that cognition is tightly linked to perception and action.
- The analysis suggests that, like individual human conceptualization and thought, situated learning is in fact deeply rooted in bodily activity.
-In social interactions the body provides individuals with a similar perspective on the world, it functions as a means of signalling to others what cannot (yet) be expressed verbally, and it serves as a resonance mechanism in the understanding of others.
http://www.essays.se/essay/f5b5300a9d/


<인공지능 일반 영역>
-But since the mid-1980s a new approach emerg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mbodiment and situatedness and since then terms like embodied cognition, embodied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and more apparent in discussions of cognition.
-As embodied cognition has increased in interest so have the notions of embodiment and situatedness and they are not always compatible.
-This report has found that there are, at least, four notions of embodiment in the discussions of embodied cognition: software embodiment, physical embodiment, biological embodiment and human(oid) embodiment.
http://www.essays.se/essay/f4ebecdb67/


-Embodied interaction is related to embodied and distributed cogn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distinction “potentiality/actuality” is outlined as an approach to the concept of “reality” in HCI and research on presence and copresence. Within this framework presence and copresence are specified in connection with an agent’s potentiality to act upon its environment, i.e. to actively explore and manipulate its environment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m856512u04702707/


Designing with Blends: Conceptual Foundation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Software Engineering (SE)
-The evolution of the concept of mind in cognitive science over the past 25 years creates new ways to think about the interaction of people and computers.
-New ideas about embodiment, metaphor as a fundamental cognitive process, and conceptual integration and ...
- a blending of older concepts that gives rise to new, emergent properties ...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software engineering (S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If once computing was based on algorithms, mathematical theories, and formal notations, now the use of stories, metaphors, and blends can contribute to well-informed, sensitive software design.
- In Designing with Blends, Manuel Imaz and David Benyon show how these new metaphors and concepts of mind allow us to discover new aspects of HCI-SE.
http://www.powells.com/biblio?isbn=0262090422



Since the early days, cognitive science has been successfully influencing how we think about HCI. Therefore we should also expect more recent developments in cognitive science, namely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 to be useful in HCI. The focus of the talk is on image schema theory.
http://www.computing.open.ac.uk/PublicWeb/computing/website/news_events.nsf/(httpEvents~Monthly)/5782AA91FE55F3D58025731B004815F7?OpenDocument


<로보틱스 영역>
-Moreover, this view is suggested as a viable route for situated robotics, which due to its rejection of traditional notions of representation so far has mostly dealt with more or less reactive behavior, to scale up to a cognitive robotics, and thus to further contribute to cognitive sci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higher-level cognition
http://www.essays.se/essay/d681ae4bf7/
- 로보틱스 영역에 대하여는 할 이야기가 많으나 줄인다.

< 제품 디자인 영역>
-This article explains how embodied cognition and perceptual symbol systems enable product designers to influence consumers by communicating key perceptual features through subtle changes in product design elements.
-In this way, managers can change perceptual design elements to support line extension strategies.
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18699494/abstract?CRETRY=1&SRETRY=0

<경영, 경제학 영역>
-It yields a basis for a cognitive theory of the firm, with the notion of cognitive distance between people, the resulting view of organization as a cognitive focusing device, the need for external relations with other organizations to compensate for organizational myopia, and the notion of optimal cognitive distance between firms for innovation by interaction.
http://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903751

<기타 심리학, 인지과학의 여러 영역 (인지발달, 발달과학, 언어습득, 감각-지각 영역 등) 및 융합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응용 내용은 후에 다시 언급하기로 하고 생략함,>

-------------------------------------------------------------------

D. 잠정적 종합: 짧은 생각

앞서 언급한 바처럼
체화된 인지 접근은 심리학, 인지과학의 기존의 이론틀을 대폭 수정하는 그러한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이론틀이 심리학, 인지과학의 틀을 점진적으로 상당히 바꾸어 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체화된 인지의 두 부류 중에서 어떤 접근이 우세할 것인가는 앞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더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겠지만 (인지과학철학 과 이론심리학 등에서)
직관적으로 예상되기는
앞으로의 심리학, 인지과학이 '급진적 체화된 인지'의 접근보다는
'약한 체화된 인지' 접근을 취하리라 생각된다.

이것은 과거에 신경망적 접근인 연결주의가 빠르게 떠올랐을 때와 사정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고전적 인지주의를 대체할 듯 여겨졌던 80년대의 연결주의도 그 자체의
문제점과 한계가 드러나면서 낮은 수준의 인지 현상 설명에는 주로 연결주의적 접근을 적용하고 고차 수준의 인지 현상 설명에는 고전적 인지주의(기호(상징)표상주의, 계산주의)를 계속  적용하는  타협적인 혼혈적인 hybrid systems 의 연구접근이 대세를 이어 왔던 것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체화된 인지 접근이 점점 더 그 영향이 증가, 확산되고 이론적으로 세련화되더라도
고전적 인지주의는 그대로 잔존하여 체화된 인지 접근이 설명하지 못하는
인지/마음의 영역을 설명하는 틀로 남아 있을 것 같다.

그렇기는 하지만 '체화된 인지' 접근의 떠오름은
심리학, 인지과학의 응용 영역에서
기존의 각종 인간-인공물 사의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접근, 연구틀을 크게 바꾸어 놓으리라고 본다.

(아니 겉으로는 크게 변화한 것 같지 않더라도
적어도 기존에는 각종 인공물(소프트. 하드 인공물) 디자인 영역에서
-로보틱스 영역, 각종 디지털 기기의 소프트 및 하드 디자인 영역 포함 -
소위 예술가적 또는 공학자적 직관에 의하여 디자인 되던 영역들이
타당한, 적절한 학술적 이론적 틀이 인지과학에 의하여 주어진 형태로 진행되리라 본다)

또한 많은 사회-문화적 인간 활동 및 제도에 대한 설명과 이해가
이 새 틀에 의하여 달라지리라 본다.

그러한 것을 고려하여 볼 때에
지난 2008년 12월 12일 한국실험심리학회 강연에서 밝힌 바처럼

그러한 시점에서 심리학/인지과학이 전통적 심리학/인지과학의 형태로 남아 있을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심리학/인지과학보다 더 넓은 틀로써
사회과학, 공학, 인문학, 생명과학 등을 연결하는
종합적 psychological-cognitive Science로 변형될 것인가
그때의 심리철학적, 과학철학적, 이론심리학적 중심 이슈들은 무엇이 될 것인가는
현재의 시점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것 같다.

하여간 미래의 심리학, 인지과학이 과거나 현재의 심리학, 인지과학과는
크게 다른 모습이 될 것이고 그것이 인간사회 일반 특히 디지털문화 관련하여
크게 영향 줄 것임은 확실한 것 같다

그러한 미래 변화 시점에서
해외에서는 심리학 전공이 없는 대학이 거의 없고,
심리학 전공이 학부 전공들 중에서 첫째 아니면 둘째로 선호되는 해외 대학 상황과는 달리
아직도 심리학 전공이 인문학으로 분류되거나 심리학 전공이 없는 대학이 많고
그리고 심리학 전공이 홀대받는 분위기의 한국 상황,
그리고 인지과학이 이미 제 3단계에 진입하고 있는데도
아직도 인지과학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를 모르며 그 1단계조차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던 한국의 교육계, 과학기술계, 응용산업계가
그 미래 시점에서 어떻게 이러한 해외 변화 조류에
준비 안 된 채  어떻게 적응, 대처할지 염려스럽다

그러한 낡은 틀의 한국에서 심리학, 인지과학을 배우고 공부하여야 할
많은 학생들, 연구자들, 관련 기업 종사자들은 그만큼 스스로 알아서
공부하고 하여야 할 일이 많아지는 것 같다.
새해와 미래에 대비하여
학생이건, 연구자건, 관련 기업체 인력이건, 매스미디어 종사자이건, 관련 국가 기관원이건,
이러한 조류를 예감할 수 있는 사람들은 그만큼 하여야 할 일이 많은 것 같다.

그렇게 하는 것이 심리학, 인지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지적으로 깨어있는 사람으로 미래를 살아가는 길인 것 같다.

2009년 1월 1일
이정모

Tuesday, December 23, 2008

눈멀어온 경제학자들이 이제는 자신 분야의 현실 적합성을 다시 생각하여야 - 트리뷴 기사 재구성

눈멀어온 경제학자들은 이제 그들의 직업의, 이론의 적절성을 다시 생각하고 있다.- 헤랄드 트리뷴 기사 재구성 -

헤랄드트리뷴지에 다음의 기사가 게재되었다.
이 내용을 일부 인용하고 재구성하여 올린다.

http://www.iht.com/articles/2008/12/23/business/econ.php

Blindsided by crisis, economists rethink profession along with theories
By Drake Bennett

The Boston GlobePublished: December 23, 2008

----------------------------------------------------------------------
현재의 크나큰 경제 위기를 그 위대하다고 자부하여 온 경제학이 전혀 예측을 못하였다.
이제 경제학자들이 할 일은 현재의 경제위기를 벗어날 수 있는 경제학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경제학이라는 자신의 분야, 직업을 고쳐 놔야하는 이중 부담을 안게 되었다
(also trying to fix their own profession)

이렇게 크나큰 전세계적 경제위기를 제대로 예측 못하였다니
경제학은 땅에 떨어진 그 자존심을 회복하여야 하는 일이 있다.
학문 자체에 크나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there are deeper problems in the discipline)

이미 이 사이트를 통하여 행동경제학, 인지경제학을 거론하면서
여러 번 이야기한 대로
경제학은 전통적 틀에서 너무 추상적이고 특수화되고, 수리적인 측면을 강조한 나머지
실제 현실의 경제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와 거리가 멀어졌다
(too abstract, too divorced from the way real world economies actually function)

이론적 우아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심리학,
인지과학에서 이야기 하여온'인간행동의 불가피한 오류성'을 빗자루로 쓸어내버리듯 배제하여 온 것이다.

그래서 그 위대한 경제학의 분석적 도구들이 이러한 거대한 위기에는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연구하여 온 경제현상이란 실제의 보통사람들의 일상적 경제행위와는 동떨어져 있는 추상적인 것이었다.

하바드대 경제학교수인 켄네스 로그오프가 이야기하듯이
경제학 이론 모델들이 작은 진동의 예측에는 적절하지만 대 지진의 설명에는, 대처 방안에는 쓸모가 없는 것이다.

현재의 세계적 경제 위기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고 이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그리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다른 이론틀이 필요한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이제까지 마치 사치품같은 경제학 모델들을 다루어 온 것이다.
그러나 보통사람인 우리가 필요한 것은 그런 학술적 사치품(scholarly luxury good)이 아니라
현실의 보통 사람들의 경제행위를 설명하고 이 위기를 벗어나게 하여 주는 경제학 모델이 필요한 것이다.

추상적이고, 학술적인 수리적 모델이 아니라
실제의 경제행위를 하는 각각의 가정에서, 일자리에서의 일반인들의 삶을 도와주는
그러한 경제학 모델들이 필요한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그들의 이론의 현실적 적절성을 심각하게 고민하여야 한다
인간이 행위를 통하여 만들어 내는 현실의 경제문제를 다룬다고 하면서도
그 인간을 배제하고 경제학을 할 수 있고 하여야 한다고 해온
좁은 안목의 편향을 이제는 버려야 한다.

보통 사람들이 이제는 경제학, 경제학자를 신뢰하지 않게 되는 경향을 막을 수 있는새로운 이론틀을 제시하여야 한다.
현재의 세계적 경제 상황은 경제 상황 위험 그 자체를 넘어서
경제학이라는 분야, 경제학자에 대한 (당연히 그들이 제시하는 국가적 경제정책에 대한)
보통 사람들의 신뢰를 빠르게 끌어 내리고 있다.
경제학은 경제행위의 주체인 인간의 특성이 고려된 경제학으로 거듭 나야 한다.

그러한 거듭남에, 그동안 경제학이 무시하여 온 심리학, 인지과학이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제는 경제학이 주변학문에 도움의 손길을 요청하고 또 부끄럼 없이, 지존심의 거론 없이
이들 주변학문에서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편협하지 않고 건강한 경제학, 현실 경제 현상에 적절한 (relevant) 경제학이 되기 위해서 !

Saturday, December 20, 2008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책 사이트/ 각 챞터다운가능

Franklin and Marshall College 심리학과의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Studies of Mind Program
조교수인
Tony Chemero 교수가 MIT 출판사에서

"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라는 책을 출판하는데
이 책의 모든 챞터들이 다음 사이트에 올려져 있습니다

http://edisk.fandm.edu/tony.chemero/rec/index_files/slide0003.htm
---------------------------------------------------------------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Anthony Chemero

<목차>

Preface: In Praise of Dr. Fodor

PART 1: STAGE SETTING

Chapter 1: Hegel, Behe, Chomsky, Fodor
Chapter 2: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PART 2: REPRESENTATION AND DYNAMICS
Chapter 3: Theories of Representation
Chapter 4: The Dynamical Stance
Chapter 5: Guides to Discovery

PART 3: ECOLOGICAL PSYCHOLOGY
Chapter 6: Information and Direct Perception
Chapter 7: Affordances, Etc.

PART 4: PHILOSOPHICAL CONSEQUENCES
Chapter 8: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Meets Neurophilosophy
Chapter 9: The Metaphysics of Embodiment
Chapter 10: Coda

ㅇ이 책의 저자의 주장은 ->
"Jerry Fodor is my favorite philosopher. I think that Jerry Fodor is wrong about nearly everything."
라고 주장하는데
모든 장의 자료를 공개한 Chemero 교수에게 감사한 마음입니다

인지과학과 상호작용성, 미디어아트, 체화된인지 개념의 연결 책 소개

http://cogpsy.skku.ac.kr/study/study.html 에서 이미
2008. 11. 29일에 소개한 파일을 여기에도 올립니다

인지과학과 상호작용성, 미디어아트, 체화된인지 개념의 연결 책 소개

상당한 지적 흥분을 저에게 준 책과 글(챞터)을 소개합니다.

인지과학의 변화하는 틀, 인간-인간, 인공물-인간의 상호작용, activity, new media art 등에 대한
새로운 개념 설정을 하게 하는 책입니다.

관련 내용이 웹에서 다운 가능하지 않으리라는 저의 지난주까지의 지레 짐작과는 달리
전체 overview를 제시하는 Seifert 교수의 글 챞터가 다운로드 가능한 파일로 공개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Seifert 교수에게 대하여 정말 고마운 마음이 듭니다.
이 새로운 관점에 대하여 직접 설명하여 주시고 출간된 책을 접할 수 있게 하여
지레짐작을 넘어서 다시 웹을 검색할 생각을 하게 단초를 제공하여 주신 김진현 박사님께도 고마운 마음입니다.

이곳을 찾는 분들이 이번 주말에 아래 관련 자료를 보시고 이 주제에 대하여
새로운 보다 넓은 관점을 형성하시기 바랍니다.
Seifert 교수관련 다른 자료들을 웹에서 더 섭렵하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전에 이 홈에서 소개되었던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15&db=newarticle&backdepth=1

다운로드 가능한 챞터글
Towar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n Empirical Methodology in Research on Artistic Human-Computer and Human-Robot Interaction
도 보시고,

김진현 박사와 Seifert교수 팀의 관련 최근 연구와 글도 섭렵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

[ 책 내용 ]

http://www.transcript-verlag.de/ts842/ts842_1.pdf
에 소개되어 있는 금년 2008년에 출간된 책

편집자: Uwe Seifert, Jin Hyun Kim, Anthony Moore (eds.)
책 제목: Paradoxes of Interactivity Perspectives for Media Theory,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Artistic Investigations

책에 대한 짤막한 소개:
Current findings from anthropology, genetics, prehistory, cognitive and neuroscience
indicate that human nature is grounded in a co-evolution of tool
use, symbolic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al transmission.
Interactivity is a key for understanding the new relationships formed by humans
with social robots as well as interactive environments and wearables
underlying this process. Of special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interactivity
are human-computer and human-robot interaction, as well as media theory
and New Media Art. »Paradoxes of Interactivity« brings together reflections
on »interactivity« from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interplay of
science and art, and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for artistic applications,
especially in the realm of sound.

이 파일의 페이지 2-3에 있는 목차를 훑어보시고
4쪽 부터 있는 Seifert 교수의 다음의 Overview 챞터글을 읽어보세요
많은 지적 자극의 단서를 발견할 것입니다

Uwe Seifert 교수의 글 제목: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MACHINES: A PARADOX OF INTERACTIVITY
Uwe Seifert

===================================================================

이 영문 글을 읽다가 혹시 한글로 된 배경지식 자료를 보면 좋겠다는 분은
다음의 저의 자료를 제시된 차례로 참고하실 수도 있습니다.

[1].
2001년 대우총서, '인지심리학' 책의 마지막 장인 14장의 일부 내용
http://cogpsy.skku.ac.kr/cwb-data/data/newarticle/14장-인지심리학-종합-부분pdf.pdf

[2].
사이버 인지심리학의 개념적 틀의 재구성: 인공물과 인지의 공진화. 한국심리학회wl: 실험, 16, 4, 365-391. [이정모, 이건효, 이재호]. (2004. 12. 30.) )
A Conceptual Reformulation of the Cognitive Psychology on Cyber Space: Co-evolution of Artifacts and Cognition
- http://cogpsy.skku.ac.kr/data/data/04-1230사이버인지심리.htm

[3].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재구성 (II): 인지과학적 접근에서 본 ‘마음’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07, 26, 2, 1-38. (이정모) (2007. 12.)
http://blog.naver.com/metapsy/40047480637


[4].
인지과학의 전개와 미래 융합학문: 인지(COGNO)로 모인다
- 2008년 6월 12일, 미래대학과 융합학문 심포지움 발표 - 서울대학교 호암회관
- http://blog.naver.com/metapsy/40052188166


기타 부분적으로 공개된 자료인 다음의 파워포인트 자료들을 참고하셔도...

[a]: 2002. 5. 24.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마음, 인간, 사회의 이해' 심포지움. '마음의 재개념화: 인지과학적 재구성'.(이화여대 포스코관 B153; 1;30 PM)
http://cogpsy.skku.ac.kr/data/data/(0524이대-이정모3).ppt ((ppt 42개)
-* 사이트 링크를 클릭하지마시고 ... .ppt 까지 복사(캪쳐)하여 사이트 연결하여 자료를 보세요. 지금 ppt 파일을 보니 그때 이야기를 하다 만 느낌이 드는군요

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 접근의 공통점, 차이

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 접근의 공통점, 차이

웹에서 보면 Fred Keijzer 교수의 다음 논문이 있습니다.
학술지 Philosophical Psychology에 출간될 논문인데, 그 결론 부분이 이 홈을 찾는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Keijzer 교수에게 메일을 보내 결론 부분을 옮겨 담는 것을 허락 받아 이곳에 올립니다
전통적 행동주의와 체화된 인지 접근의 차이에 대하여 이 결론 부분의 저자의 견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홈 독자들을 위하여 논문 옮겨쓰기를 허락해 준 Fred Keijzer 교수에게 감사드립니다.

----------------------------------------------------------------------------------
Theoretical behaviorism meets embodied cognition: Two theoretical analyses of behavior.

- Fred Keijzer
/ Faculty of Philosophy/ University of Groningen/ A-weg 30, 9718 CW Groningen/ The Netherlands
f.keijzer@philos.rug.nl
(To appear in Philosophical Psychology)

http://philosophy.eldoc.ub.rug.nl/FILES/root/Keijzer/Theoretical/Keijzer2005Theoretical.pdf

--------------------------------------------------------------------

체화된 인지 관점과 유사하다고 주장이 되는 Theoretical behaviorism 과 관련하여 이론적행동주의와 체화된인지접근의 두 접근의 유사성, 차이점을 기술하고 행동주의가 아닌 행동과학(behavioral science rather than behaviorism) 이 필요함을 주장함.
-------------------------------------------------------------------

결론 부분 (15-16 쪽)

Concluding

Behaviorism and embodied cognition both stress the importance of behavior when it comes to
conceptualizing cognition, or more generally the mind. The radical, behavioral systems, version
of embodied cognition that has been discussed here even shares with behaviorism a version of the

16
claim that cognition is constituted by behavioral - perception-action - phenomena (Hurley,
2001).

Nevertheless, I hope to have shown convincingly the dee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iews, even when behaviorism is updated and internal states become part of its explanatory
vocabulary, as in Staddon’s theoretical behaviorism. First, the two differ in the very conception
of behavior itself. Behaviorism highlights the functional regularities of behavior, while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stresses in addition the need for an anatomy of behavior: a structural
description of the physical behavior itself. Second, behaviorism remains phrased in unidirectional
terms, while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builds on loopy structures where almost any
influence between components is reciprocal. Third, as a result of their different conceptions of
behavior, the approaches differ markedly in their estimation of the complexity involved in
behavioral phenomena. Fourth, theoretical behaviorism remains different from cognitive
approaches by keeping its models as simple as possible while still accommodating the behavioral
data. In contrast,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sets cognition itself in a behavioral context. Thus
it retains its identity even when the mechanisms involved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more
like classic cogn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heoretical analyses of behavior are systematic.
Behaviorism, including theoretical behaviorism, has a strong methodological motivation.
Behavior has always been the outwardly visible aspect of any internal - mental, cognitive or
neural- process. By targeting outward behavior, behaviorists kept a firm objective footing in
solid observable data and hoped to avoid questionable cognitive and overly complex neural
mechanisms. The motivation behind a behavioral systems approach is different. This approach
turns to behavior because it holds that outward perception-action coupling is an intrinsic aspect of
the processes making up intelligence. In addition, behavior also provides the whole evolutionary
rationale for any internal - mental, cognitive or neural - process. Behavior is set center stage
because it is of central importance for intelligence, irrespective whether it is easily accessible or
not. The seeming accessibility of behavior is even put into question as it turns out to be rather
difficult and complex to access the fleeting dynamical structures of behavior.

Having compared the two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study of behavior, I find any
methodological reasons for turning to behavior much less convincing than behavior’s intrinsic
importance. So, while treasuring its techniques and empirical knowledge, I want to conclude that
there is no question of a current return to behaviorism. Behaviorism remains as dead - or alive if
you want - as it ever was, even when the scientific study of behavior must be considered of
primary importance.

컴퓨터로 글을 읽는 것은 책으로 읽는 것보다 주의를 분산, 학습에 저해된다

같은 내용을 책으로 읽는 것과 컴퓨터 스크린으로 읽는 것은
어느 것이 더 학습에 도움이 될까?

이러한 질문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지녔던 의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은 컴퓨터를 몇 살 때부터 많이 사용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요즈음 얼마나 많이 사용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 노르웨이의 Stavanger 대학의 읽기연구센터에 잇는
Anne Mangen 이라는 연구자가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008에 실린 내용을 보면

http://lesesenteret.uis.no/frontpage/news/article12534-3357.html

Journal reference:
Anne Mangen. Digital fiction reading: Haptics and immersion. Journal of Research in Reading, 2008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글을 읽는 것은 책으로 읽는 경우보다
뇌에 스트레스를 더 주면, 클릭, 스크롤링 등이 우리의 주의를 흩으러 놓는다고 한다.
불안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책장을 손가락으로 넘기는 것이 아니라 클릭, 스크롤링하는 것이
그리고 읽다말고 링크된 사이트를 찾아가보는 것이 (navigation)
또 글이 화면 양식에 맞지 않는 등의 요인이
우리의 심리적 과정에 방해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The digital hypertext technology and its use of multimedia
are not open to the experience of a fictional universe
where the experience consists of creating your own mental images.
The reader gets distracted by the opportunities for doing something else,

컴퓨터 스크린 상에서 글을 읽는 것은
책에 익숙하였던 사람들ㄷ에게 새로운 심적 오리엔테이션(정향)을 일으키게 하고
책의 글에서의 물리적 측면의 완전성이나 구성요소들을 놓치게 된다는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에서 글을 읽는 것은
우리가 과거에 학교에 다니며 익숙하였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컴퓨터의 역동적이고 계속 움직이며 임시적인 것을 학습하게 하여
이는 우리가 그 글을 기억하는 데에 잠재적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학습이란 새로운 컴퓨터 매체가 제시하지 못하는 바,
즉 시간과 심적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렇기에 오늘날에
ICT 테크놀로지를 강조하면서 무조건 모든 것을
유치원 때부터 컴퓨터, 온라인 적으로 가야한다고 많이들 이야기하는데
이러한 이야기는 IT를 사용한 학습 상황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에 근거하지 않은 채
그냥 테크놀로지의 장점 중심으로
몰아가려는 입장의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먼저 컴퓨터를 사용하여 글을 읽는 것이
유치원아동들부터 학습상황에서 무엇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냥 IT세대이니까 무조건 IT를 적용한 학습상황을 만들어 가여 한다는 것은
체계적이지 못하고 몰이식 사고일 수 있다.
이러한 테크놀로지에 대한 체계적 과학적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그에 앞서 찬성-반대 식으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

읽기란 무엇인가, 쓰기란 무엇인가, 인지적 학습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다 심각한 고려가 필요하다.

물론 미래의 학생들은 아주 어릴 때부터 책보다 컴퓨터에 더 친숙할 수가 있다.

하여간에 이 모든 경우에 관여되는 인지학습 요인들, 발달적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 연구결과의 비교 평가 없이

무조건 IT시대이고 디지털시대이고, 대세가 그러니까
모든 연령의 모든 학습 상황에 컴퓨터 모니터로 글 내용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식의 단순한, 몰이식 생각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글의 유형, 주제, 필요성 등의 요인에 따라
다른 방식의 매체가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Saturday, December 13, 2008

마음의 체화적(embodied) 접근: 심리학 패러다임의 제6의 변혁

마음의 체화적(embodied) 접근: 심리학 패러다임의 제6의 변혁1)

   (Embodied Mind Approach: The 6th Revolution in the Paradigms of Psychology)


                             이정모 (성균관대)

                              jmlee@skku.edu



------------------------------------------------



1. 서론: 과학적 보는틀


과학의 본질은 과학자들이 그 연구 대상 현상에 대하여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현상의 구조적, 과정적 본질을 기술하고 설명하며 그것을 지식으로 체계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물리학자건, 심리학자건 한 과학자가 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관심의 대상인 한 현상을 연구함에 있어서 아무런 지식이나 개념화 없이 그 현상에 접근한다기보다는 하나의 보는 틀, 개념적인 틀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과학자가 하는 과학적 행위의 실제이다.

과학에서의 보는틀이란 연구대상 현상에 대하여 그것을 어떠한 현상으로 간주할 것인가, 그 현상은 본질적으로 무엇을 이루어내는 현상, 또는 어떠한 변화를 이루어내는 현상인가 하는 관점의 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대상 현상을 탐구하기 이전에 지니는 개념적 그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보는틀은, 무한한 복잡성과 범위를 지니고 있는 현실적 연구대상에 대해 보다 효율적으로 현실을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준거 틀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물리학의 상대성이론이건 생물학의 진화론이건 심리학 및 인지과학의 인지주의이건 하나의 보는 틀을 가지고 접근하는 경우에 그 틀은 현상을 현실에 있는 그대로 완전히 드러내 보인다고는 볼 수 없다. 과학적 보는틀은 자연 현상의 어떤 측면을 중점적으로 부각시켜서 기술하고 설명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한 현상도 어떤 면을 중심으로 볼 것인가, 또 어떻게 볼 것인가에 따라 달리 설명되게 마련이며, 그에 따라 현상 자체에 대한 과학적 설명의 적합성, 타당성, 충실성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그런데 과학자들이 어떤 현상에 대하여 접근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하나의 개념적 보는틀은 본래적으로 제한된 지식과 인지능력을 지닌 인간인 과학자들이 그 당시의 지식과 시대정신(Zeitgeist) 중심으로 구성한 개념적 틀이기에 절대적 참일 수가 없고 한계적이며 따라서 그 과학 분야를 영구히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현상에 대한 영구불변한 고정된 보는틀은 한 과학 내에 있을 수 없다. T. Kuhn이 진술하였듯이 그 보는틀이 설명할 수 없는 현상들이 점진적으로 축적되고,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설명을 줄 수 있는 개념체계와 방법론이 논의되게 되고, 끝내는 새로운 보는틀이 옛 보는틀을 대치하는 변혁이 일어난다.

그렇기에 과학자들은 현재 그 과학에서 정립되어 활용하고 있는 기존의 보는틀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인 현상에 대하여 가장 좋은 설명을 줄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하며, 동시에 그 보는틀의 타당성이나, 설명의 충분성 등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더 좋은 설명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보는틀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심리학이 하나의 경험적 과학으로 독립한 이후에 심리학의 연구 대상 현상인 마음과 행동 현상에 대한 개념틀은 계속 변하여 왔다.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이제 여섯 번째의 새로운 보는틀이 점차 그 세력과 지위를 굳혀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지난 130여년의 심리학의 역사 상에서 심리학적 보는틀이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간략히 조명한 후에, 현재 일어나고 있는 제 6의 변혁의 보는틀인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의 요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새로운 보는틀의 시사와 심리학을 탐구하는 사람들이 생각하여야 할 측면들을 간략히 다루어보고자 한다.



2. 마음에 대한 보는 틀의 변혁 역사


심리현상에 대하여 철학 내에서 가다듬어온 주제들에 19세기 중엽의 유럽, 특히 독일의 실험물리학, 실험생리학적 방법론을 결합하여 심리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출발시킨 빌헬름 분트는 마음의 기본 요소들과 그 특성을 밝히며 이 요소들이 단지 요소에서 그치지 않고 창조적 통합과정을 거쳐 어떻게 마음을 이루어내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으로는 철학전통의 내성법, 물리학과 생리학의 실험법, 그리고 인류학, 역사학 등의 문화역사적 분석법을 가다듬어 마음 현상의 전 범위에 걸쳐 탐구를 진행하려 하였다.

이후의 심리학 내의 보는틀의 변화 과정을 단순화하여 범주화한다면 다음의 6개로 묶어 볼 수 있을 것이다.


2.1. 구성(구조)주의적 접근:2)

E. B. Titchener 등은 심리학의 핵심 주제가 의식의 기본적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내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의식의 요소라고 볼 수 있는 심적 과정의 특징과 이 요소들이 지니는 속성을, 훈련되어 가다듬어진 내성법을 통하여 찾으려는 구성주의적 심리학 접근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의식의 요소를 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자극을 제시하는 방법은 실험실실험법을 사용한 엄격한 실험 통제하에서 진행하되 자극에 대한 의식 내용의 분석에는 주관적 분석법인 내성법을 사용하였다.


2.2. 행동주의적 접근

미국에서 기능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형성된 행동주의 심리학은, 내성법을 그 기본방법으로 삼아 의식을 요소로 분석하였던 구성주의와는 달리, 심리학에서 의식이라든가 마음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을 배격하고 객관적으로 관찰가능한 외적인 자극-반응의 연결 관련 행동에 대한 객관적 기술만이 심리학이 할 일이라고 주장하며, 마음이나, 인지 등의 개념을 심리학에서 배제하였다.


2.3. 정신분석학적 접근


한편 독일에서 프로이트에 의하여 출발된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구성주의 심리학에서 강조한 명시적으로 관찰, 분석할 수 있는 의식 내용의 분석이 아니라, 의식화되지 않은 무의식적 충동이 마음의 구조와 역동을 결정한다고 보고, 이를 내성법과 해석학적 방법에 의하여 접근하여 그 구조와 역동을 규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그 해석학적 접근 방법 때문에 이후의 과학적 심리학에 의하여 비과학적 접근으로 비판되거나 무시되었다.3)


2.4. 고전적 인지주의적 접근


행동주의심리학의 보는틀이 방법론적 객관성을 강조하여 설명력이 극히 제한된 자극-반응의 연결의 객관적 기술에 초점을 둔 나머지, 마음을 심리학에서 제거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대한 반발적 대안으로 195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1970년대부터 심리학과 인지과학에서 그 입지를 확고히 한 고전적 인지주의(Classical Cognitivism)는 인간과 컴퓨터를 유사한 정보처리적 원리를 지닌 시스템으로 보고, 이 정보처리시스템의 정보처리 과정과 구조를 밝힘을 통하여 마음의 문제를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 접근은 추상적 정보처리 원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나머지 그 정보처리 원리가 구현되는 물리적 실체는 중요하지 않다고 보아 정보처리체계가 구현되는 실체가 뇌이건, 전자칩이건 중요하지 않다는 다중구현원리(multiple realization)의 철학적 관점을 기반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마음의 작동 원리를 논리적 형태의 규칙의 도출과 같은 형식적 접근에 의하여 계열적인 과정으로 기술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모든 심적 현상은 상징(기호적) 표상(representation)의 형성, 저장, 활용과 같은 계산(computation)적 정보처리라는 기본 입장이 고전적 인지주의의 핵심을 이루었다.


2.5. 연결주의와 신경과학적 접근


마음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고전적 인지주의가 드러내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1980년대 중반에 대두된 연결주의(connectionism)는 고전적 인지주의와는 달리, 마음의 작동이 그 신경적 기반 구조인 뇌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 뇌의 기본 단위인 세포들 간의 연결강도의 조정 중심으로 마음의 작동 특성을 개념화하였다. 연결주의는 고전적 인지주의처럼 미리 내장된 알고리즘적 규칙이나 지식표상을 전제하지 않으며, 신경망적 분산적, 병렬적 확률적 계산에 의한 상징(기호)이하 수준에서의 정보처리 메커니즘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연결주의 접근은 실제의 뇌라기보다는 뇌의 대표적 특성을 추상화, 이상화한 이론적 뇌의 특성을 중심으로 마음의 작동 메커니즘을 모델링하였다.

연결주의적 접근의 등장 이후에 심리학의 보는틀의 중심 위치를 점유한 것은 신경심리학적 접근이었다. 신경심리학적 접근은 앞에서 언급한 여러 보는틀이 심리적 기능과 과정의 측면에 대한 보는틀임과는 달리, 마음을 뇌의 신경생물적 구조와 과정에 기초하게 하는 존재론적 차원의 보는틀이기에, 앞서 언급한 접근들과는 다른 수준의 틀이기는 하지만 이 글에서의 논리적 전개를 위하여 여기에 포함시킨다.

신경심리적 접근은 연결주의가 지니고 있는 제약점, 즉 실제의 뇌보다는 이상화된 이론적 뇌를 모상정하여 놓고 이를 모델링한다는 측면과, 연결주의가 상징이하(subsymbolic) 수준에서의 처리를 이야기하고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고전적 연결주의와 같은 형식적 계산주의의 입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측면의 결함을 보완하는 접근이다. 또한 연결주의 이전의 기존 모든 접근의 존재론적 가정의 미흡함을 마음의 작동 원리를 생물적, 신경적 바탕에 기초하도록 하는 환원주의적 접근에 의하여 보완하려는 강력한 보는틀로써 현잳의 심리학, 인지과학의 중심 보는틀로써의 자리를 잡고 있다.


2.6. 체화된 마음 접근의 떠오름


고전적 인지주의, 연결주의, 신경심리적 접근들이 심리현상의 많은 특성을 밝혀주기는 하였지만 그들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는 논의가 1980년대 중반이래 꾸준히 제기되어 왔고, 21세기 초인 현 시점에서 체화된 마음(EM: embodied mind 또는 embodied cognition) 보는틀이 이전의 접근들에 대한 대안적 틀로써 점차 그 이론적 형태를 가다듬으며 점차 세를 확산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심리학 내에서의 제 6의 틀로 간주할 수 있는 체화된 마음 접근의(인지과학 내에서는 고전적 인지주의를 제1의, 연결주의를 제2의, 체화된 마음의 틀을 제 3의 대안적 틀로 논의하기도 한다) 떠오름의 배경, 기본 주장, 의의 등을 간략히 기술하고 종합하기로 한다.



3. 체화된 마음, 상호작용하는 행위로서의 마음, 확장된 마음


Bem & Keijzer(1996)에 의하면, 현재 심리학과 인지주의가 과거 1950년대의 인지주의의 출발과 떠오름 시점보다도 더 드라마틱한 전기를 맞고 있으며, 그것은 철학과 심리학, 인지과학에서의 전통적인 데카르트적 존재론/인식론에 바탕한 마음(Mind)의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구체적인 ‘몸’이라는 실체를 통한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출현하는 인간의 적응 ‘행위’로서의 ‘마음’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계기라고 말하고 있다.

체화된 마음 접근은 지난 30여년간,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 중반 이후에 점차 위치를 굳혀, 21세기 초의 지금에서는 하나의 뚜렷한 제3의 대안으로 부각하고 있는 보는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접근은 인간의 마음이, 인지가, 개인 내의 뇌 속에 표상된 내용이라고 하기보다는, 구체적인 몸을 가지고(embodied) 환경에 구현, 내재되어(embedded) 사회환경에 적응하는 유기체(organism)가 환경(environments)과의 순간 순간적 상호작용(interaction) 행위 역동(dynamics) 상에서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즉 문화, 역사, 사회의 맥락에 의해 구성되고 결정되는 그러한 마음임을 강조하는 접근이다.

이러한 접근은 아직은 통일적 틀을 이루지 못하고 다소 산만히 여러 이름들로 전개되고 있지만, 고전적 인지주의에서 배제되었던 ‘몸’을 마음의 바탕으로 되찾게 하며(embodied mind), 체화된 마음과 분리될 수 없는 환경을 인지과학과 심리학에 되살려 놓게 하며, 공간적 연장(extension)이 없는 마음이 아니라 환경에 연장된,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으로 마음을 재개념화 할 가능성을, 아니 그래야 하는 필연성(Bickhard, 2008)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3.1. 체화됨 마음 관점의 떠오름의 배경


체화된 관점은 본질적으로 데카르트의 이원론적 존재론과 그에 바탕한 인식론을 벗어나자는 탈 데카르트적 움직임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이미 일찍이 17세기의 B. Spinoza에 의하여 이루어졌었다(Damasio, 2003). 몸에 대한 강조는 이후에 유럽의 현상학적 철학자들에 의하여 이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추상화된 마음의 측면이 강조되는 데카르트의 이원론적 존재론을 넘어서서 몸과 마음을 둘로 나눌 수 없다는 입장에서 전개된 프랑스의 메를로 퐁티(1945, 2002) 등의 관점에서는 인간의 의식적 경험의 뿌리가 몸에 있음과, 몸과 마음과 환경이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입장이 제시된다. 몸이 환경(세상)과 일체가 되어 적응하는 과정에서 몸의 행위 하나하나가 마음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심리학 내에서도 이러한 관점에 상응하는 움직임이 있어왔다. 20세기 중엽부터 이미 이러한 관점을 설득력있게 전개하여온 J. J. Gibson(1979) 연구진의 생태심리학적 연구가 그 주류를 이루었고, 이외에도 인지과학 내에서 다음과 같은 사조들의 영향이 수렴되어 “제2의 인지 혁명”이라고도 지칭되는 이러한 움직임을 이루어 내었다고 할 수 있다.

“인지과학 내에서 재현된 하이데거적 존재론-인식론 논의(Dreyfus 등의 논의), 언어학의 J. Searle 등의 Speech Acts 논의, 상황의미론논의, 심리학에서의 J. J. Gibson, Neisser 등의 생태심리학적 논의, 인지생물학과 embodied mind 논의(마투라나, 바렐라, 1984, 1995; Varela, Thompson, & Rosch, 1991; Lakoff & Johnson, 1999), 인공지능학에서의 Brooks(1991) 등의 reactive robotics 논의 및 분산 표상 논의, 심리학에서의 비표상체계 논의(Shannon, 1990), 인지인류학에서의 지식의 사회 문화적 제약 이론 및 인공물과 외적 분산 표상 개념에 관한 논의(Hutchins, 1995), 언어학과 철학에서의 experiential realism 논의(Lakoff & Johnson, 1980; Lakoff, 1987), 심리학 등에서의 분산적 인지, 상황적 인지(situated cognition) 논의(Clancy, 1997, Greeno, 1998), 행위로서의 마음에 대한 논의(Leont'ev, 1978; Lave, 1988; 마뚜라나, 2006), 담화적 마음(discursive mind) 논의(Harré & Gillett, 1994), 동역학체계 논의(Port & van Gelder, 1995) - 특히 아동의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한 동역학체계 논의(Smith & Thelen, 2003; Smith, 2005; Thelen &Smith, 2006) -, 심리학과 로보틱스 등에서의 인지의 감각운동 기반에 대한 진화론적 논의, 상호작용론(interactivism) 논의(Bickhard & Terveen, 1995; Seifert, 2008) 등이 이러한 제 2의 변혁의 배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이정모, 2001, p. 632의 문단 내용 중 일부 삭제, 추가 보완).”

최근에 철학에서 이러한 탈 데카르트적 관점의 계승 움직임이 일고 있다. 지각도 사고도 감각-운동적 신체적 행위에 바탕하고 있다는 철학자 A. Noe(2004a, 2004b), 마음은 뇌 자체도, 기계속의 도깨비도 아니다 라는 주제로 강하게 ‘마음=뇌’ 관점을 비판한  Rockwell(2005), 뇌 속의 마음이 아니라 몸과 괴리되지 않으며 세상과 괴리되지 않은 마음으로, 인지로 재개념화하여야 한다는 Wheeler(2005), 몸 이미지가 아닌 몸 스키마의 개념을 사용하여 ‘몸이 마음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하는 주제를 다룬 Gallergher(2005), 마음은 뇌 안에 있거나 개인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뇌를 넘어서, 개인을 넘어서 있다는 Wilson(2004) 등의 주장 등이 있으며(이정모, 2007, p. 13). 정대현(2001), 이영의(2008)의 마음 논의에서 신체성 개념 의의 논의, 연장(확장)된 마음(Extended Mind) 관련 Clark과 Chalmers (1998), Clark(1997, in press) 등의 논의 등이 있다.

20세기 초의 행동주의심리학이 마음을 심리학에서 배제하였고, 1950년대 이후의 고전적 인지주의가 그 마음을 심리학에 되찾아주었지만 뇌의 역할을 무시하였고, 1980년대 이후의 인지신경심리학이 마음을 다시 뇌 속으로 넣어주었지만 뇌를 제외한 몸의 역할을 무시하고 데카르트식 “마음 = 뇌신경과정 상태”의 관점을 전개하였다면, 이제 21세기에서 제3의 대안적 관점을 통하여 그 뇌를 몸으로, 그리고 다시 그 몸을 환경으로 통합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마음은 뇌 속에서 일어나는 신경적 상태나 과정이라고 하기보다는 신경적 기능구조인 뇌, 뇌 이외의 몸, 그리고 환경의 3자가 괴리되지 않은 총합체(nexus) 상에서 이루어지는 행위 중심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Wheeler, 2005). 몸을 배제한, 체화되지 않은 상호작용의 개념으로는 인간과 인간간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없다(Seifert, 2008),

 이외에도 최근에 다음과 같은 학자들의 논의에 의해 이 대안적 관점이 틀을 갖추어 전개되고 있다: Bickhard(2008), Calvo & Garcia(in press), Chemero(in press), Dourish(2001), Gomila & Calvo(2008), Gomila (2008), Keijzer(in press), Seifert(2008), van de Laar & de Regt(2008).


3.2. 체화된 마음 접근의 요점.


그러면 체화된 마음(EM) 보는틀의 핵심은 무엇인가? 전통적 인지주의(cognitivism)에 대한 대안 관점으로(post-cognitivism) 제시된 체화된 마음 접근의 요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체화된 마음의 보는틀은 “미시적, 신경적 또는 생물적 단위 수준에서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연결주의와 같은 낮은 설명 수준의 접근이 지니는 한계, 그리고 그보다 한 수준 위에서 명제 중심으로 논리적 체계에 의해 설명하려는 고전적 인지주의의 정보처리 접근이 지니는 제한점을 벗어나려 한다. 즉 환경과는 독립적으로 한 개인 마음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보의 인지적 표상이나 처리가 아니라, 환경 속에서 살며, 이와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인간의 행위로서 인지를 설명하고자 하며, 환경이 인간의 인지의 특성, 한계를 규정, 제약하고 인간의 인지구조가 환경을 규정하고 변화시키는 그러한 상호작용의 관계 속에서의 인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세상 속에서 적응하며 활동하는 존재이며 세상의 일부로서의 한 개인이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그리고 물리적 환경의 자연물과 인공물과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 담화에 의해 구성되고 의미를 지니는, 그리고 구체적인 신체에 구현된(embodied) 실체로서의 인간 마음, 그리고 환경의 다른 인간의 마음이나 각종 인공물에 분산표상된 마음,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으로 상황 지워지며 행위로 구성되는 마음으로서 보려는 것이다(이정모, 2001, 643-644; 일부 내용 삭제, 보완).”

체화된 인지를 다룬 다른 논문에서 마음 일반보다는 인지 중심으로 이 입장의 요점을 표현한 것을 인용한다면 다음과 같다. 


“ ... we question the very assumption that cognizing is something that the brain does... but we believe there is more to cognition than the processes inside the brain alone. Besides the brain, the organism's body and the world form part of the physical substrate that underlies cognition and behavior. ... ECC(Embodied Embeded Cognition) proposes that  cognition and behavior emerge from the bodily interaction of an organism with its environment. ... the physical structure of body and world, and the internal milieu of the organism's body, all provide important constraints that govern behavioral interactions. From this perspective, cognitive states are best explained by a physical system of interacting components, where the brain is only one such component. In other words, the brain is best viewed not as a commander or director of behavior, but rather as only one of the players among equally important others (i.e., the body and the world. ... higher cognitive functions cannot directly mapped onto brain structures (van Dijk, Kerhofs, Rooij, & Haselager, 2008, p. 298; 밑줄은 필자가 추가함)."

구체적 몸으로 환경에 체화된다는 것은 표상, 인지, 마음을 거론함에 있어서 보조적 개념화가 아니라 필수적 개념화이다("If representation, thus cognition, is derived from (inter)action, then some sort of embodiment is required in order for surch action and interaction to be possible: actions, thus embodiment, are not mere auxiliaries to representation, but, instead, are essential to it (Bickhard, 2008; p. 35)

Gomila와 Calvo(2008, p. 12-13)에 의하면 embodied mind의 요체는 체화됨(embodiment)보다는 interactivism과 dynamicism이며, 이 관점은 다음과 같은 핵심 주장을 전개한다: 환경과의 심적 역동적 상호작용은 몸에 의존하며, 따라서 감각운동적 측면이 인지의, 마음의 핵심이 되며, 고차 심적 기능도 이러한 기초의 제약과 허용 틀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지각은 능동적이며, 행위는 지각에 의해 인도되며, 신경계, 몸, 환경 요인이 실시간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을 이해함을 통하여 과학적 설명이 주어지고, 전반적 계획이나 통제가 없이 분산된 단위들의 지엽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가조직적으로, 창발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심적 현상이며, 마음은 환경에 확장된(extended), 상황지어진(situated) 것으로 분석, 이해되어야 하며, 인공적 상황에서 탐구될 것이 아니라 자연적, 생태적 상황에서 맥락이 고려되어서 이해되어야 하며,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서 전통적 논리적 형식적 접근보다는 역동적 시간 경과와 상호작용성을 다루기에 적절한 수리적, 형식적 접근을 통하여 탐구되어야 하며, 신경생물학적 가능성(plausibility)이 반드시 고려되며, 현상이 과정이 어떻게 체험되는가 하는 가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도 설명적 구성요소로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3.3. 체화된 마음과 인공물과 인간


마음을 단순히 뇌 속에서 일어나는 신경적 과정의 결과로써, 그리고 알고리즘적 또는 확률적 정적인 계산적 정보처리로써 개념화하지 않고, 몸과 괴리되지 않은 마음이 몸을 통하여 환경에 공간적 확장, 연장의 특성을 지닌 역동적인 활동(행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개념화 한다면, 위에서 Gomila와 Calvo가 논하였듯이 체화됨 자체보다는 상호작용성, 그리고 그 역동성이 더 핵심적인 개념이어야 함은 당연한 것 같다. 체화됨이라는 것은 상호작용 행위가 출현할 수 있는 상황조건, 가능성 조성 기반에 지나지 않으며, 심리학이, 인지과학이 관심가져야 할 것은 그러한 상황지워짐을 통하여 마음-몸-환경의 합일체가 무엇을 이루어 내는가 하는 역동적 activity이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마음-몸-환경의 상호괴리될 수도 없는 entity들이 이루어내는 상호작용일 것이다. 상호작용이 심리학, 인지과학의 핵심 개념으로 떠오르게 되는 논리적 기반이 이에서 제공된다.

몸에 구현된 마음이 환경과 상호작용함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어서, 인간과 자연물과의 상호작용은 Gibson류의 생태심리학이, 인간과 인간의 상호작용은 사회심리학과 인지인류학이, 인간과 동물의 상호작용은 사회심리학, 인지인류학, 동물행동학, 인지신경과학이 다룬다면, 인간과 인공물 일반(Artifacts 1)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행위주체자의 역할을 하는 인공생물시스템 또는 인공인지시스템으로서의 로봇이나 다른 인공물(Artifacts 2)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화의 정리와 심리학적, 인지과학적 탐구의 틀의 재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A. 인간과-인공물일반(A-1)의 상호작용의 개념화

 

각종 인공물 일반(artifacts: 언어, 문화, 제도와 같은 소프트인공물, 그리고 칼, 컴퓨터와 같은 하드인공물 포함)과 마음의 상호작용 관계를 진화사의 측면에서 되생각하여 본다면 이러한 측면을 이정모(2007)의 글 내용을 재구성하여 다음과 같이 논할 수 있을 것이다.

 인류진화의 역사를 본다면 인간이라는 종의 진화는 순수한 인간 신체적 진화, 마음의 진화의 역사라고 하기 보다는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물과 인간의 마음, 그리고 몸이 공진화해 온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이 인공물을 만들고 활용한다는 일방향적 활동에 의하여 인간의 진화가 이루어졌기보다는, 인공물이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활동을 확장시키고 또 제약하기도 하는 쌍방향적 상호작용 과정으로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의 마음속의 어떤 내적 표상 구조, 특히 외부 세계와 자신의 문제 상황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구성개념들이 외현화되어 물리적 환경에 구현되어 인공물(도구)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외현화 및 구현 과정 속에서 인간의 뇌와 마음은 끊임없이 외부 환경의 구조와 역동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며 그 환경의 인공물과 함께 공진화하여 왔을 것이다(이정모, 이재호, 이건효, 2004; 이정모, 2007, Seifert, 2008). 따라서 인간 마음의 본질을 탐구함에 있어서 몸을 통한 환경의 인공물 세계와의 interactivity의 측면을 제쳐놓고 생각하기 힘들다.

그런데 과거의 1990년대 전반까지의 인간-인공물 상호작용의 연구는(Gibson 류의 생태심리학적 접근과 D. Norman의 인지공학도 포함하여; Seifert, 2008) 전통적인 데카르트적 인식론에 기초한 이론틀에서 벗어나지 못했었다. 인간의 마음은 환경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독자적인 표상을 지닌다는 데카르트적 입장에 바탕하여, 표상화된 개별 지식의 전달과 이를 표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인지적 활동뿐만 아니라 인간-인공물 상호작용을 개념화했던 과거의 전통적 관점은 역동적인 인간-인공물 상호작용, 특히 연속적 시간 궤적 상에서의 역동적 심리적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며, 몸을 통하여 구현되는 activities로서의 마음의 작용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전통적인 마음 관점은 환경과 마음의 상호작용의 본질에 대한 부족한 내지는 잘못된 개념화를 제시함으로써 인간 심적 특성에 부합되지 않은 각종 인공물 환경을 생산하고 활용하게 하였으며, 그러한 인공물의 사용성(usability)의 빈약으로 인해 인공물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였고, 인공물의 제작 목적이 왜곡되거나 극히 일부분만 활용되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인간의 마음과 인공물의 상호작용은 부조화를 일으키고, 어떤 면에서는 진화의 방향과는 어긋나는 방향으로 심적 적응이 전개되게끔 하였다. 인간의 마음이 뇌 속에 갇힌 인지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활동 과정상에서, 역동적 시간 궤적 상에서 나타나는 것인데...., 이러한 상호작용적 활동성을 무시하고 정적인 상징표상의 저장으로서의 마음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인지활동의 상황의존성, 맥락의존성, 사회문화요인에 의한 결정성 등이 무시되었고, 실제 장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는 인공물을 디자인하게 하였다. 즉 인간과 환경 인공물간의 변증법적 통일성(dialectic unity in activity) 측면을 파악하지도, 살리지도 못하였다(이정모, 2007, 17쪽).”

이제 앞서 제시된 마음의 새로운 개념, 즉 뇌와 몸과 환경이 하나로 엮어진 통합체에서의 능동적 상호작용 활동으로 재구성된 마음 개념 틀을 도입한다면, 인공물이, 그리고 이들이 구성하는 현실공간이나 가상공간이, ‘확장된 마음’으로서, 그리고 마음의 특성을 형성, 조성하는 기능 단위 또는 공간, 대상 및 사건으로서 작용하며, 마음과 인공물이 하나의 통합적 단위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게 마음과 인공물의 관계를 재구성한다면, 인간의 마음의 작동 특성 본질의 심리학적, 인지과학적 탐구는 물론, 인간의 각종의 적응, 부적응의 이해와 이러한 변화의 각종 응용심리학적, 응용인지과학적 적용 실제(practice)에서 새로운 좋은 틀을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이다.


B. 인간과-행위주체자로서의 인공물(A-2)의 상호작용의 개념화


환경을 이루는 것이 일반 인공물뿐만이 아니라, 행위를 스스로 낼 수 있고 인간과 쌍방향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로봇이나 다른 인지시스템같은 행위주체자/대행자(agents)들이라고 한다면, 인간을 포함한 이 행위 주체자/대행자들 사이의 쌍방향적, 사회적, 문화적 상호작용의 측면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체화된 마음이 전개하는 상호작용 상황은 Gibson 류의 생태지각심리학적 접근이 주로 다루어 온 세상상황을 넘어서는 것이다. 체화된 마음의 접근이 Gibson의 생태심리학적 이론틀을 넘어서서 정립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여기에서 제기된다.

더구나 R. Kurzweil 등이 주장하듯이 인간과 인공물의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지적) 경계가 무너지는 특이점(the Singularity)이 (약소한 형태이건 아니면 광범위하고 강한 형태이건 간에) 20년 내지 30년 내에 도달하게 될 수도 있는 21세기의 현 시점에서는 데카르트 류의 존재론에서 개념화한 환경의 물질적 대상, 도구와의 상호작용을 넘어서, 인간의 partners(Seifert, 2008)로서 인간과 더불어 (또는 인공물끼리) 사회적, 문화적 관계를 창출해 낼 행위대행자/주체자로서의 인공물과의 새로운 유형의 interaction이 전개될 것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신체적으로 그리고 심리적 과정 측면에서 인공물과 인간의 경계가 무너지고 인간의 exoself가 생겨나며 인간이 fyborg 될 가능성 등을 생각한다면 마음에 대한 개념화와 탐구에서 인간 마음과 공진화해갈 새로운 형태의 인공물,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적 구성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한 미래 환경에서의 인간-인공물 상호작용(H-A-I), 인간-인공물매개-인간 상호작용(H-Am-H-I), 그리고 인간-인간 상호작용(H-H-I)을 아우를 수 있는 보강돤 ‘상호작용’의 개념틀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4. 종합


 과학의 보는틀이 고정되어 있지 않음과 심리학 패러다임의 제6의 변혁의 틀로 체화된 인지(EM) 접근의 배경, 특성 등을 간략히 소개하였다. 인지과학에서 고전적 인지주의에 대한 제 3의 대안으로도 지칭되기도 하는 이 접근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우선 개념적으로 정리되어야 할 것은 체화된 마음(EM) 접근에서의 행위 개념과 고전적 행동주의의 행위 개념의 차별화의 문제이다. 체화된 마음 접근이 행위를 강조하기에 이 접근과 행동주의심리학이 기본적으로 같지 않는가 하고 의문을 제기할 수 있지만 Keijzer(in press)에 의하면 두 접근틀은 차이가 있다. 행동주의를 보완하여 이론적 행동주의로 재구성하더라도, 행동주의의 행동 개념과 EM의 행동 개념과 차이가 있다. 행동주의는 일방향적이며 단순 행동 개념 상에서 인지를 배제하지만, EM접근은 복잡한 구조를 지닌 행위 개념을 다루며, 쌍방향적이며 행동적 맥락을 인정하면서도 인지의 개념을 재구성한 형태로 살린다. 두 접근의 행위 개념은 같은 개념이 아닌 것이다.

다른 하나는 방법론적 세련화의 문제이다. 몸을 통하여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이고 다면적인 인간(몸)-환경의 상호작용 측면을 어떻게 과학적 탐구의 면면으로 방법론적으로 객관화하는가가 큰 과제로 남을 수 있다. 또한 주관적 현상학적 측면을 전통적 과학적 연구틀에 어떻게 객관화 가능한 형태로 도입함에 따르는 문제들이 남는다.

그렇기는 하지만 제 3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체화된 마음(EM) 접근이 가져오는 시사는 상당히 크다. 그 하나는 이 접근이 심리학의 주제와 영역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다. 몸을 통하여 인간이 환경의 인간 그리고 행위주체(agents)로서 존재할 로봇 등의 인공물과 상호작용하는 행위 현상 일반이 심리학의 주요 분석대상이 된다면, 심리학은 생체로서의 인간 및 동물 자체뿐만 아니라 현재, 그리고 미래에 존재하게 되는 온갖 유형의 인공물, 특히 행위주체자로서 작동할 인공물, 인간의 몸이나 인지와 경계가 없는 그러한 미래 인공물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학문이 되리라 본다. 이에 따라 기존의 많은 사회과학, 공학이 다루는 역동적 상황들, 연구영역들이 심리학의 영역으로 포섭,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로봇 연구에서 로봇의 인지적, 정서적 반응, 로봇-로봇 상호작용, 로봇-인간 상호작용, 인간-로봇매개-인간 상호작용 등의 영역이 당연히 심리학의 영역이 되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의 내연과 외연이 확장되는 것이다. 문제는 그러한 확장의 필요가 강하게 부각될 미래의 시점에서도 심리학이 전통적 심리학의 틀을 유지할 수 있을까, 아니면 다른 과학으로 재구성되는 또 다른 변혁을 필요로 할까 하는 것이다. 새로운 틀에서 심리학을 재구성해 낼 미래의 심리학자들의 역할을 기대하여 본다.



                               [ 참고문헌 ]



움베르토 마뚜라나 (지음), 서창현 (옮김) (2006). 있음에서 함으로: 베론하르트 푀르크젠과의 대담. 서울: 갈무리. (원저: Von Sein zum Tun. by Humberto R. Maturana 2004.)

움베르토 마투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지음), 최호영 (옮김). (1995). 인식의 나무. 자작아카데미. (원저: Der Baum der Erkenntnis. by Humberto R. Maturana & Francisco J. Varela. 1984)

모리스 메를로-퐁티 (지음), 류의근 (옮김) (2002).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 원저, Maurice Merleau-Ponty (1945).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

이영의 (2008). 체화된 마음과 마음의 병. 철학탐구, 23집, 5-37.

이정모 (2001).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서울: 아카넷 (대우학술총서 511).

이정모 (2007).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재구성(2): 인지과학적 접근에서 본 ‘마음’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6, 2, 1-38.

이정모, 이건효, 이재호 (2004). 사이버 인지심리학의 개념적 재구성: 인공물과 인지의 공진화.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 4, 365-391.

정대현 (2001). 심성내용의 신체성. 서울: 아카넷. (대우학술총서 528)

최상진 (2007b). 마음 속의 몸, 몸 속의 마음. 한국심리학회 2007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22-123.

Bem, S., & Keijzer, F. (1996). Recent changes in the concept of cognition. Theory & Psychology, 6, 449-469.

Bickhard, M. H. (2008). Is embodiment necessary? In P. Calvo & A. Gomila (Eds.). (pp. 29-40).

Bickhard, M. H. & Terveen, L. (1995). Foundational issu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Science: Impasse and solution. Amsterdam: Elsevier.

Brooks, R. A. (1991). Intelligence without repre-sent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47, 139-159.

Calvo, P. & Garcia, A. (in press). Where is cognition heading?

Calvo, P. & Gomila, T. (2008). Handbook of cognitive science: An embodied approach. Amsterdam: Elsevier.

Chemero, A. (in press). Radical embodied cognitive science. MIT Press.

Clancy, W. J. (1997). Situated cognition: On human knowledge and computer represent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lark, A. (1997). Being there: Putting brain, body, and world together again. Cambridge, MA: MIT Press.

Clark, A. & Chalmers, D. (1998). The Extended Mind. Analysis, 58, 10-23.

Clark, A. (in press). Memento’s Revenge: Objections and Replies to the Extended Mind” to appear in R. Menary (ed) The Extended Mind.

Damasio, A. (203). Looking for Spinoza: Joy, sorrow, and the feeling brain. Orlando: Harcourt.

Dourish, P. (2001). Where the action is: The foundations of embodied interaction. MIT Press.

Gallagher, S. (2005). How the body shapes the min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Gibson, J. J. (1979).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Boston: Houghton-Mifflin.

Gomila, A. & Calvo, P. (2008). Directions for an embodied cognitive science:  Toward an integrated approach. In P. Calvo & A. Gomila (Eds.). Handbook of cognitive science: An embodied approach. Amsterdam: Elsevier. (pp. 1-25).

Gomila, A. (2008). Mending or abandoning cognitivism? In M de Vega, A. Glenberg & A' Graesser (Eds.). Symbols and embodiment: Debates on meaning and cogn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Greeno, J. G. (1998). The situativity of knowing, learning, and research. American Psychologist, 53 (1): 5–26.

Harré, R. & Gillett, G. (1994). The discursive mind. London: Sage.

Hutchins, E. (1995). Cognition in the wild. Cambridge, MA: MIT Press.

Keijzer, F. (in press). Theoretical behaviorism meets embodied cognition: Two theoretical analyses of behavior. Philosophical Psychology.

Kelso, J. A. S. (1995). Dynamic patterns: The self-organization of brain and behavior. Cambridge, MA: MIT Press.

Kurzweil, R. (2005). The Singularity Is Near. New York: Viking.

Lakoff, G. (1987).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Lakoff, G. & Johnson, M. (1999).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western thought. New York: Basic Books.

Lave, J. (1988). Cognition in practice: Mind, mathematics and culture in everyday lif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ont'ev, A. N. (1978). Activity,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M. J. Hall, Tran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Noe, A. (2004a). Action in perception. Cambridge: MA.

Noe, A. (2004b). Experience without head. In T. Szabo & J. Hawthorne (Eds.). Perceptual experienc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ort, R. F., & van Gelder, T. (Eds.). (1995). Mind as motion: Exploration in the dynamics of cognition. Cambridge, MA: MIT Press.

Rockwell, T. (2005). Neither Brain nor Ghost: A nondualist alternative to the mind-brain identity theory. Cambridge, MA: MIT Press.

Seifert, U. (2008). The co-evolution of human and machines: A paradox of interactivity. In U. Seifert, J. H. Kim, & A. Moore (Eds.) (pp 8-23).

Seifert, U., Kim, J. H., & Moore, A. (Eds.) (2008). Paradoxes of interactivity: Perspectives for media theory,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Artistic Investigation. transcript Verlag, Bielefeld.

Shannon, B. (1990). Non-representational framework for psychology: A typology. European Journal of Cognitive Psychology. 2, 1, 1-22.

Smith, L. B. (2005) Cognition as a dynamic system: Principles from embodiment. Developmental Review.

Smith, L. B., Thelen, E. (2003) Development as a dynamic system. TRENDS in Cognitive Science, 7, 343-348.

Thelen, E. and Smith, L.B. (2006) Dynamic Systems Theorie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ume 1,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6th Edition, William Damon (Editor), Richard M. Lerner (Volume editor), pp 258-312.

van Dijk, J., Kerkhofs, R., van Rooij, I., & Haselager, P. (2008). Can there be such a thing as embodied embedded cognitive Neurosciernce? Theory and Psychology, 18, 3, 297-316.

van de Laar, T. & de Regt, H. (2008). Is cognitive science changing its mind: Introduction to embodied embedded cognition and neurophenomenology. Theory & Psychology, 18, 3, 291-296.

Varela, F. J., Thompson, E., & Rosch, E. (1991). 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Cambridge, MA: MIT Press.

Wertsch, J. V. (1998). Mind as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ilson, M. (2002). Six views of embodied cognition.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9, 625-636.

Wheeler, M. (2005). Reconstructing the cognitive world: The next step. MIT Press.



1) - 한국실험심리학회 2008년 겨울 제43차 학술대회 논문집, 143-152 쪽. - 2008년 12월 12일 전북대학교 진수당 바오로홀. * 확장 수정판 (2008. 12.13.)


2) 구성주의심리학과 구조주의심리학 번역어의 문제: 심리학에서 E. B. Titchener 중힘으로 추진된 Structuralism은 그에 대한 한국어 번역어가 둘이 있다. 체계적인 심리학사 한국어 책을 제일 먼저 저술하신 이의철교수의 심리학사 1971판에 의하면 구성주의라고 번역되었고, H. H. Kendler의 1987년판 심리학사 책 번역서(이승복 외, 2000)에서는 구조주의라고 번역되었고, C. J. Goodwin의 1999년판 현대심리학사 번역서(박소연 외, 2004)에서는 다시 구성주의라고 번역되었다. 여기에서는 보다 긍정적 입장에서 보는 번역어인 구성주의라는 번역어를 택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3) 아직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심리학의 핵심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이들은 20세기의 대표적 철학자인 Karl Popper, Ludwig Wittgenstein 등이 정신분석학을 psueudoscience라고 선언했고, 과학적 심리학에서는 고전적 정신분석학이 배제되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