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December 12, 2009

정년퇴임한 후 3개월간 관심을 둔 인지과학 주제들

정년퇴임한 후 약 3개월간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주제들에 관한 자료

- (2009. 09-11: 주로 웹자료 연결 중심으로)
- 이정모.

(성균관대; 심리학, 인지과학) 2009. 12.13. 2.1.판본
===================================================

<차례>

1. 인지과학 일반 자료의 재정리
2. 법과 인지과학
3. 체화된 인지-> neuromorphic
4. 뇌를 넘어서: 뇌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
5. 예술과 인지
6. 내러티브와 인지
7. 체화된 인지(인공물), 개념융합(혼성)과 내러티브의 인지과학적 연결

* 현재 6-7을 연결한 인지과학적 패러다임의 재개념화 탐색 중이며
7. 의 주제는 2010년에 생각할 과제

//////////////////////////////////////////////////////////////////////////////////////////

1. 인지과학 일반: 관련 옛 자료 링크:
* -이전에 강의용으로 정리한 자료를 일반인 도움용으로 다시 목록화 함

1. 인지과학 서론 관련 자료
-------------------------------------------------------
위키피디아 웹 백과사전의 인지과학 정의와 설명
http://en.wikipedia.org/wiki/Cognitive_science
인지과학의 정의와 관련 설명: 미국 인공지능학회
http://www.aaai.org/AITopics/html/cogsci.html

한글자료:웹문서: 인지과학 서론
http://cogpsy.skku.ac.kr/cogpsy1.htm 또는
http://cogpsy.skku.ac.kr/200608-cogsci-인지과학.pdf

---------------------------------------------------------

인지과학에 대한 초보자의 질문/관심과 인지과학 개괄
http://www.cognobytes.com/cogs/introduction-to-cognition/bird-s-eye-view-of-cognitive-science

인지과학의 하위 주제들
http://cogsci.uwaterloo.ca/courses/resources.html

인지과학 용어들
http://cogsci.uwaterloo.ca/courses/Phil256/glossary.html

인지과학 사전
http://www.bcp.psych.ualberta.ca/~mike/Pearl_Street/Dictionary/dictionary.html
--------------------------------------------------------------

인지과학 전공 후의 진로는? Berkeley 대학의 자료
- "What can I do with a major in cognitive science?"
http://career.berkeley.edu/Major/CogSci.stm
--------------------------------------------------------------


Celebrities in Cognitive Science 해외 인지과학의 유명인 사이트
http://carbon.cudenver.edu/~mryder/itc_data/cogsci.html

해외 저명 인지과학자 소개(short biography)
http://mechanism.ucsd.edu/%7Ebill/research/ANAUT.html

------------------------------------------------------------------

인지과학 자료 사이트 resources
http://www.cogsci.weenink.com/resource.html
CogNews
http://cognews.com/
All in the Mind : Radio Natinal (사운드 화일)
http://www.abc.net.au/rn/science/mind/
CogWeb
http://cogweb.ucla.edu/
--------------------------------------------------------------

[대학의 인지과학 학과, 과정 목록]

<해외>
해외 인지과학 대학 학과 및 과정프로그램 목록
http://www.cognitivesciencesociety.org/graduate/

인지과학 학위수여 대학들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institutions_granting_degrees_in_cognitive_science

인지과학 관련 기관들(대학, 연구소 등) (2004년 자료)
http://www.hku.hk/cogsci/prog/05links/institutes.htm

-------------------------------------------
인지과학 대학원 전공이 있는 대학들 목록
Cognitive Science Graduate School Programs - Masters & PhD Degrees

전세계
http://www.gradschools.com/Subject/Cognitive-Science/70.html

북미
http://www.cognobytes.com/resources/acad-courses/universities-in-us-and-canada

유럽
http://www.cognobytes.com/resources/acad-courses/universities-in-europe

아시아 (목록 불완전)
http://www.cognobytes.com/resources/acad-courses/universities-in-asia-pacific

1-4. Cognitive Informatic 단과대학
http://www.inf.ed.ac.uk/

1-5. 인지과학 단과대학; 이란
http://www.inf.ed.ac.uk/

1-6. 2009년도 아리조나대학의 새 학부대학: 단과대학/ MBB 마음, 뇌, 행동:
- 미래 교육 및 연구의 새 길(방향) 제시
http://uanews.org/node/28161
--------------------------------------------

대학 인지과학학생회 (아래는 주로 학부 학생회 사이트임: 대학원학생회 사이트는 인지과학이 있는 거의 모든 대학에 있음)
- 미국, 캐나다: 인디아나 대학(학부), 사이먼프레이져 대학(학부), UC-버클리 대학(학부), UCSD 대학(학부), 죠지아 대학, 캐나다 토론토 대학(학부 +AI), 캐나다 요크대학(학부)
http://www.cogs.indiana.edu/icogsci/orgs.html


캐나다 대학 학부생들의 인지과학 학술지 사이트
http://www.sfu.ca/cognitive-science/journal/

-한국 다음넷 상의 한국인지과학학생회 (한국인지과학회 산하)
http://cafe.daum.net/cogsci
--------------------------------------------------------------

인지과학회(미국)
http://cognitivesciencesociety.org/index.html

인지과학회(한국)
http://krcogsci.snu.ac.kr/
인지과학 넷워크
http://www.ssrn.com/csn/index.html

인지과학 학술지 집적소(아카이브)
http://csjarchive.cogsci.rpi.edu/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월간학술잡지)
http://www.trends.com/tics/default.htm

MIT Cognet
http://cognet.mit.edu/
-------------------------------------------
한국인지과학회
http://krcogsci.snu.ac.kr/
-------------------------------------------
관련 저서
<해외>
10 Classics from Cognitive Science
http://cognitrn.psych.indiana.edu/rgoldsto/cogsci/classics.html

one hundred most influential works in cognitive science from the 20th century
http://www.cogsci.umn.edu/OLD/calendar/past_events/millennium/final.html
--------------------------------------------------------------

인지과학 관련 도서 목록

[해외]

10 Classics from Cognitive Science
http://cognitrn.psych.indiana.edu/rgoldsto/cogsci/classics.html

one hundred most influential works in cognitive science from the 20th century
http://www.cogsci.umn.edu/OLD/calendar/past_events/millennium/final.html

-Friedenberg, Jay & Silverman, Gordon (2006). Cognitive Scienc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ind. London: Sage.
-Thagard,Paul (2005). Mind: Introduction to Cognitive Science. MIT Press.
-Nuallan, Sean O. (2002). The Search for Mind. Intllect: Bristol, UK.
-Sobel, Carolyn P. (2001). The Cognitive Science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내]:

-바렐라 및 톰슨 지음, 석봉래 옮김. (1997). 인지과학의 철학적 이해. 옥토.
-앙드레 베르제즈, 드니위스망 공저, 남기영 옮김. "프랑스 고교철학 II: 인간과 세계". 삼협종합출판부
-이인식 지음 (1992). 사람과 컴퓨터. 까치. 가치글방 74.
-이정모 외 (1989).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 대우학술총서. 민음사. 404쪽 (절판)
-이정모 지음 (2001). 인지심리학: 형성사, 개념적 기초, 조망. 아카넷. 대우학술총서 511.
-이정모 (지음) (2009).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이정모 외 지음 (2009). 인지심리학 (3판). 학지사.
-이정민 외 지음 (2001). 인지과학. 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인지과학총서1. 서울대학교출판부.
-조르쥬 비뇨 지음. 김어자, 임기대, 박동열 옮김 (2002). 인지과학입문. 도서출판 만남. 1991. 한국판 2002
-카렌 N. 샤노어 외, 김수경 지음 | 변경옥 옮김. 마음을 과학한다 (마음에 관한 선구적 과학자 6인의 최신 강의) . 나무심는사람
-필립 존슨 레어드 지음, 이정모, 조혜자 옮김 (1991). 컴퓨터와 마음: 인지과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절판. (대학도서관에서는 찾아 볼 수 있음)
-한광희 외 지음 (2000). 인지과학: 마음, 언어, 기계. 학지사. 정가 : 18,000원
-A. J. 골드만 지음 석봉래 옮김 (1998), 철학과 인지과학. 서광사.
----------------------------------------------

한국의 인지과학 개관

2002년까지의 한국 인지과학의 역사: 과거, 현재, 미래 (2002)
http://korcogsci.blogspot.com/2008/07/blog-post_18.html

학회: 한국인지과학회의 창립과 발전 ==>
1986-1987년의 대우재단 인지과학 공동연구 모임을 바탕으로 1987년 탄생
- 이 모임 참여자들에 의해 대우재단학술총서로
‘인지과학: 마음, 언어, 계산’이 1989년에 출간
- 학술잡지 ‘인지과학’ 발간
- 춘계 연차학술대회,
- 10월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이전에는 국가 학문분류체계에서, [의학] –[정신의학] -> [인지과학] 으로 분류
1999년에 과학재단에서 인지과학이 복합과학 내의 독립학문으로 분류, 공인
(그러나 미국보다 거의 40년 뒤진 상황)

1. 대학(학부)의 인지과학 강좌
80년대 말부터 시작하여 국내 몇 대학에서 인지과학 강좌를 학부의 교양강좌로 개설하게 되었다.
- 1989년 1학기에 성균관대학교에서 ‘인지과학’ 강좌가 개설된 것을 시초로 하여, 연대(1990), 고대(1991), 서강대(1996)에서 교양강좌가 개설되었고, 서울대에서는 9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인지과학 관련 교수들의 정기적 집담회를 기반으로 하여 ‘언어와 인지’(1991)의 강좌가 개설되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인지과학과(학부) 학부 과정으로 2001 년 설치

2. 대학원 협동과정
인지과학’ 대학원 협동과정이
1994년 가을에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의 3개 대학에 설치 허가가 남
1995. 1학기에 연세대의 석박사과정과, 성균관대의 석사과정 개설 –후에 박사과정도 추가
1995. 2학기에 서울대 - 인지과학 강좌를 개설/ 부산대 - 인지과학과정 인가
1996년도 1학기에/ 서울대- 인지과학 협동과정 석박사 과정;
부산대- 인지과학협동과정 석사과정
1997년; 부산대-박사과정
2006년. 영남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석사) 설치

이외에 인접분야의 협동과정
예: 서울대: 뇌과학 협동과정(석사, 박사)/ 2001년 설치:

2009 현재 WCU 관련하여개설된 인지과학 관련 학과
교육과학기술부의 WCU (World Class University)와 관련하여 2009년에 새로 생긴 인지과학 관련 대학원 학과들 (모두 석박사 과정)
ㄱ. 고려대학교: 뇌공학과 (Brain informatics)
석사: 뇌공학; 박사: 인지뇌과학
http://brain.korea.ac.kr/
ㄴ.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Brain & Cognitive Science)
http://bcs.snu.ac.kr/wiki/Home
ㄷ.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 학과
Interaction Science 학과
http://is.skku.edu/

3. 국내 대학[학부]의 인지과학 연계 전공
ㄱ. 고려대 뇌 및 인지과학 연계전공; 2009. 3.
http://brain.korea.ac.kr/bcs/
ㄴ. 연세대학교 인지과학 연계 전공: 2000. 3.
http://web.yonsei.ac.kr/yongei/guide/cogn01.html
ㄷ. 이화여자대학교 인지과학 연계전공(일반 연계전공 정보만 있음):
http://www.ewha.ac.kr/korean/html/001/001004002003004.html

이외에 개설, 또는 추진 중인 인지과학 관련 대학원 수준의 학과:
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

한국 인지과학학생회
-위에서 사이트 언급함
- 2002년 서강대 조숙환 교수 (언어학)의 적극적 지원 하에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진
인지과학 학생회 출발; http://cafe.daum.net/cogsci
인지과학 정보의 국내 교환센터로서의 역할

4. 인지과학 연구소
인지과학 연구소:
1989년 8월에 학교간 연구센터로 인지과학연구센터를 연세대학에 설립하고자 15인의 전국 각 대학 인지과학자들이 과학재단에 지원서를 제출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하였다.
1995년 5월에 건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부설 인지과학연구센터가 처음 설립되었으나, 교내사정으로 폐쇄
1996년 6월에 국내 최초의 독립적 연구소인 인지과학연구소가 연세대학교에서 15개 이상의 학문분야의 교수들이 참여하여 출범
1997년 서울대학교 에서 인지과학연구소 설립
2009년 고려대학교 뇌 및 인지공학연구소 설립

5. 국제적 협조와 국내 학회 간 연결
ICCS 등: 1991년에 한국과학재단과 미국과학재단의 지원 하에 ‘한미인지과학학술대회’개최
- 1997년 8월 ICCS 1회 결성 및 개최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서울, 서울대
이정민 교수(서울대, 언어학), 김진형 교수 (KAIST, 전산학) 중심 진행
-2008.7. 제 6회 ICCS 학술대회 개최
서울, 연세대
정찬섭 교수(연세대, 심리학), 이정민 교수 (서울대, 언어학) 주도 진행

///////////////////////////////////////////////////////////////////////////////////////////////////////////

2. 법과 인지과학

* 경제학에 인지과학적 사실들과 이론이 접목되어 행동경제학, 인지경제학, 신경경제학을 낳았듯이, 법학에 인지과학적 사실과 이론들이 연결되어 인지법학, 신경법학이 필연적으로 탄생할 것이다. 다음에 웹 자료를 소개한다.

법과 인지과학 분야의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미래 예측 관련 한글 자료 사이트:
- 법학과 인지과학의 연결: 법학 지망생이 알아야하는 미래 법학의 변화 모습
http://korcogsci.blogspot.com/search/label/Cognitive%20Science%20of%20Law
또는 http://blog.naver.com/metapsy/40093256356

Complex brain imaging is making waves in court
Reyhan Harmanci, Chronicle Staff Writer, Friday, October 17, 2008
San Francisco Chrobicle
http://www.sfgate.com/cgi-bin/article.cgi?f=/c/a/2008/10/17/MN8M13AC0N.DTL&hw=bunge&sn=001&sc=1000

McArther Foundation의 법-신경과학 프로젝트
http://www.lawandneuroscienceproject.org/

The Law and Neuroscience Blog
Welcome to the Law and Neuroscience Blog
http://lawneuro.typepad.com/the-law-and-neuroscience-blog/

The Future of Neuroimaged Lie Detection and the Law
http://lawneuro.typepad.com/the-law-and-neuroscience-blog/2009/10/the-future-of-neuroimaged-lie-detection-and-the-law.html

EVIDENCE AND LAW
Guest Editors: Walter Sinnott-Armstrong and Frederick Schauer
-Introduction
-Warrant, Causation, and the Atomism of Evidence Law
http://muse.jhu.edu/journals/episteme/toc/epi.5.3.html

Psychopathy and Criminal Responsibility
Stephen J. Morse
Neuroethics (2008) 1:205?212
DOI 10.1007/s12152-008-9021-9
http://www.springerlink.com/content/9534141h38470r30/fulltext.pdf

The Law and Neuroscience; 리뷰 글
Michael S. Gazzaniga
Neuron, Volume 60, Issue 3, 412-415, 6 November 2008
http://download.cell.com/neuron/pdf/PIIS0896627308008957.pdf?intermediate=true

///////////////////////////////////////////////////////////////////////////////////////////

3. 체화된 인지 틀, 로보틱스의 연결: + neuromorphic

* 체화된 마음 관련 이정모의 글 목록 *

2007. 12. 15. '심리학의 개념적 기초의 재구성 (II): 인지과학적 접근에서 본 ‘마음’'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07, 26, 2, 1-38.
2008. 12.12. '마음의 체화적(embodied) 접근: 심리학 패러다임의 제6의 변혁'. 한국실험및인지심리학회 2008년 겨울 제43차 학술대회 논문집, 143-152. http://korcogsci.blogspot.com/search/label/embodied%20mind
009. 1.31. 몸이 있는 마음:  인지과학의 새로운 보는틀. 100북스 심포지움 발표자료.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76&db=newarticle&backdepth=1
2009/2/19/스포츠심리학회 발표자료; 체화된 마음 접근의 시사;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88&db=newarticle&backdepth=1
2009.2. 27. 인지과학: 학문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제15장 인지과학의 조망, 684-696 쪽.
2009. 03. 20. ‘심리학에 새로운 혁명이 오고 있는가: - 체화적 접근’. 동덕여자대학교 지식융합연구소 2009심포지엄: 2지식융합 2.0–마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 심포지엄 자료집, 20-33. (동덕여대). http://blog.naver.com/metapsy/40065405491 
2009. 07. 31. '현대 지성계의 새로운 움직임과 거대한 생갂의 전환'. 알바 노에 (지음), 김미선 (옮김) (2009). 뇌과학의 함정: 인간에 관한 가장 위험한 착각에 대하여. (서울: 갤리온). 추천글 (8-14 쪽).
2009. 12. 7. ‘체화된 마음: 심리학 패러다임의 전환’.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웹진, 2009, 4호(겨울호). (1-4쪽) http://blog.naver.com/metapsy/40095880340 또는 http://korcogsci.blogspot.com/2009/12/2009.html

* 아니면 http://blog.naver.com/metapsy 에서 문서 분류용 [태그]에서 embodied cognition을 클릭하여 여러 자료를 보세요. *
...............................................................................................................

[Neuromorphic]

Neuromorphic engineering is a new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that takes inspiration from biology, physics, mathematic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http://en.wikipedia.org/wiki/Neuromorphic

Next Gener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 Neuromorphic Technology
KIM Hyun-Han : 삼성경제연구소 글
Oct. 23, 2009
http://www.seriworld.org/01/wldContV.html?mn=B&natcd=KR&mncd=0201&key=20091023000001

Neuromorphic Cognitive Systems
What is a neuromorphic cognitive system and what is neuromorphic cognition?
http://ncs.ethz.ch/ncs
-Neuromorphic Cognitive Systems group, at the Institute of Neuroinformatics, University of Zurich and ETH Zurich.

The 2008 Capo Caccia Workshops toward Cognitive Neuromorphic Engineering
An unconventional schedule, for an unconventional workshop... (why is it so?)
http://capocaccia.ethz.ch/capo/wiki/WorkshopSchedule#today

Telluride Neuromorphic Cognition Engineering Workshop
NEUROMORPHIC COGNITION ENGINEERING WORKSHOP
http://www.ine-web.org/telluride-conference-2009/telluride-2009/index.html

Designing A Self-Aware Neuromorphic Hybrid; 논문 파일
Alexei V. Samsonovich1 and Kenneth A. De Jong2
http://ai.ru.is/events/2005/AAAI05ModularWorkshop/papers/WS1105Samsonovich.pdf

/////////////////////////////////////////////////////////////////////////////////////////////////

4. 뇌를 넘어서: 뇌 지상주의에 대한 비판
* 이 자료는 3. 체화된 인지/ 마음 관련 자료와 연결됨*

4.1. [한글자료]

2006. 07. 24. 기사; 교수신문; <학문동향>
 “뇌와 마음이 같은 것이 아니라면?: 인지과학의 제 3의 움직임”
http://blog.naver.com/metapsy/40028305312

2006. 8. 1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심포지엄: [뇌와 심리: 적인가 동지인가?]
- 신경적 설명과 마음 개념의 재구성: 인지과학의 새 움직임의 의의-
http://blog.naver.com/metapsy/40028305538

나에게 몸이 있다는 것은 무슨 의의를 지니는가?: 인지과학적 의의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1366&db=newarticle&backdepth=1

2006년 12월 9일 한국심리학회 창립 기념 60주년 기념심포지움 강연 발표 파일
“마음 개념의 재구성과 심리학 외연의 확장: 인지과학접근과 심리학의 미래”
http://blog.naver.com/metapsy/40032706300

‘인간과 기계’ 경계가 없어진다면 … 중앙일보 박방주 기자 기사 글
중앙일보의 2007년 11월 16일자 과학섹션 기사
http://blog.joins.com/bj1320/8736929

인간과 인공물의 경계 허무는 테크놀로지의 미래
2007년 12월 10일 (월) 교수신문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15306

마음-인공물 상호작용 개념의 재구성이 인지공학, 인공물 디자인에 주는 시사
http://blog.naver.com/metapsy/40045128672

인지과학이 ‘마음’을 바꾸고 있다: Science Changing its Mind
http://blog.naver.com/metapsy/40056639154

체화된 마음과 마음의 병: 이영의 교수의 글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13&db=newarticle&backdepth=1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168&db=newarticle&backdepth=1

발상의 전환: 뇌를 넘어서: 뇌, 몸, 환경은 하나라는 강한 외침
- 알바 노에 (지음), 김미선 (옮김) (2009). 뇌과학의 함정. (서울: 갤리온) 책 추천글-
http://cogpsy.skku.ac.kr/cwb-bin/CrazyWWWBoard.exe?mode=read&num=3213&db=newarticle&backdepth=1

....................................................................

4.2. [뇌를 넘어서 영문자료]

확장된 마음; Clark & Chalmers 글
http://consc.net/papers/extended.html

척수를 통한 사고작용
Thinking with Spinal Cord
http://med-chatter.com/aggy/tag/w-berg/
http://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07-01/uoc-twt012307.php

모든 지각경험이 과연 몸의 감각운동적 특성에 바탕하고 있을까?
-비판적 고찰: Understanding the Embodiment of Perception
http://philosophyofbrains.com/files/30451-28882/Understanding_the_Embodiment_of_Perception1.pdf

Rethinking Neuroethics in the Light of the Extended Mind Thesisby Neil Levy2007. The American Journal of Bioethics 7(9):3
확장(연장)된 마음 개념의 심대한 의의: 환경 조작은 곧 내 마음 조작과 같음
http://www.bioethics.net/journal/j_articles.php?aid=1337&display=abstract

몸에 바탕한 마음 관점의 줄거리: 학회 개최 안내의 글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Cognition: Embodied, Embedded, Enactive, Extended
20-24 October 2007
http://philosophy.ucf.edu/pcs/eeee.html


Embodied Cognition, Enactivism and the Extended Mind
Workshop, 10 - 11 December 2009
-물음: whether there is a biological basis to the extended mind? Whether cognition is embodied and embedded but not extended? And whether an enactive account of cognitive skills excludes appeal to cognitive representations?
http://www.uow.edu.au/arts/selpl/philosophy/UOW069544.html


내마음은 과연 내 뇌 속에만 있을까? 내 노트북에 있는 것은?
뉴욕타임즈 컬럼에서 D. Brooks가 다룬, 내 마음의 확장
The Outsourced Brain / By DAVID BROOKS
Published: October 26, 2007
http://www.nytimes.com/2007/10/26/opinion/26brooks.html?_r=2&oref=slogin&oref=slogin

싸이보그/ NATURAL BORN CYBORGS?/ By Andy Clark
http://www.edge.org/3rd_culture/clark/clark_index.html

[기타 관련 글들]

뇌를 거치지 않은 척수를 통한 사고가 가능하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마음을 뇌의 신경상태로 전적으로 환원하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http://www.yeskisti.net/yesKISTI/Briefing/Trends/View.jsp?cn=GTB2007011107&SITE=KLIC

몸과 마음, 언어, 은유는 어떻게 연결되어지나? Gibbs 교수의 책 서평
Nortre Dame Philosophical Review/ Raymond W. Gibbs, Jr.
Embodiment and Cognitive Science.
http://ndpr.nd.edu/review.cfm?id=7443
http://blog.naver.com/metapsy/40047480637

Zygon: Extended Mind Symposium
http://manwithoutqualities.com/2009/01/03/zygon-extended-mind-symposium/

Topoi Volume 28, Number 1, March 2009
Special Issue on Embodied Mind, Extended Mind, and Enactivism
http://blog.aladdin.co.kr/qualia/2776250#C1649252

-------------------------------------------

////////////////////////////////////////////////////////////////////////////////////////////////////////////////

5. 예술과 인지

5-1. 인지과학과 예술: 서론: 주요 주제
Cognitive Science and the Arts
An Introduction to Key Topics under Discussion
http://www.class.uh.edu/COGSCI/keytopics.html


5-2. 예술체험의 신경학적 이론
- > 인지신경과학에서 본 예술의 10대 원리
Dr. V.S. Ramachandran + Dr. William Hirstein
(UCSD심리학과 및 신경과학과정 교수 + 미국 일리노이 Elmhurst College 철학과 교수)
“The Science of Art: A Neurological Theory of Aesthetic Experience.”
The Journal of Consciousness Studies,6,15-41.
http://www.imprint.co.uk/rama/art.pdf


5-3. 예술교육과 인지과학

Teaching Cognitive Science and the Arts III
예술 교육과 인지과학
http://www.aesthetics-online.org/articles/index.php?articles_id=11

음악교육과 인지과학
http://www.aesthetics-online.org/articles/index.php?articles_id=13


5-4. 하바드대학의 예술과 인지 강좌 설명:
“인지이론과 예술 (Cognitive Theory and the Arts)
- Poetry, music, and painting are all products of the imagination, and also make visible the way the imagination works. This seminar draws on the verbal, visual, and auditory arts, as well as models and findings from the mind scienc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aesthetic processes and artifacts. We are interested in the ways art, neuroscience, and cognitive theory illuminate one another.
Chair: Anna Henchman, Alan Richardson, Elaine Scarry
http://www.fas.harvard.edu/~humcentr/seminars/index.shtml

5-5. 컴퓨터예술의 철학
The APA Newsletter on Philosophy and Computers and the ASA Newsletter
http://www.aesthetics-online.org/newsletter/current.pdf


5-6. 미국 미학 학회 학술대회 패널 주제-: 인지과학과 예술
Panel Proposal:
Cognitive Science and the Arts
for American Society for Aesthetics Annual Meeting- Nov. 1,1997
http://www.class.uh.edu/COGSCI/panel.html


5-7. 예술과 인지 연결주제 탐색 학회
- Centre for Research in Cognitive Science, Art, Body, Embodiment: Programme
A COGS Interdisciplinary Symposium
University of Sussex, March 14-15, 2005
http://www.sussex.ac.uk/cogs/1-4-3-1.html

5-8. 예술과 인지 관련 글

예술적 작업의 통일성과 인지
http://www.interdisciplines.org/artcog/papers/4
Roberto Casati (Translated from Italian by Marcel Lieberman)
예술활동(작품)은 다른 모든 인공물처럼 우리의 인지적 삶에 기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행위로서의 예술
http://www.interdisciplines.org/artcog/papers/8


//////////////////////////////////////////////////////////////////////////////////////////////////

6. 마음의 내러티브 원리와 인지과학

*이 6절에서는 웹링크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설명도 첨가함*

6-0. 마음의 원리는 내러티브 원리이다는 인지 내러톨로지 관련 한글 자료
- 이정모 (1996). 이성의 합리성과 인지심리학 연구의 의의
- 문서 사이트 주소 = (주소가 길지만 참조하세요)

http://cogpsy.skku.ac.kr/newdata/(%EC%97%B0%EA%B5%AC%EB%85%BC%EB%AC%B8)/(%ED%95%99%ED%9A%8C%EC%A7%80%EB%85%BC%EB%AC%B8)/(%EC%9D%B8%EC%A7%80%EC%8B%AC%EB%A6%AC%ED%95%99%EC%9D%98%EC%A0%9C%EB%AC%B8%EC%A0%9C1)/(%EC%9D%B4%EC%84%B1%EC%9D%98%ED%95%A9%EB%A6%AC%EC%84%B1).pdf

* 이 글에서 5절. 실용적 합리성과 이야기 원리/ 6절. 여러 초벌 이야기 모형. 내용 참조
** 이 글을 보시면 190년대 중반부터 이정모는 마음의 기본 원리가 이야기적 윈리임을 생각하고 있었음을 알 수 알 수 있을 것이며, 다음의 Mark Turner의 주장과의 연결이 새로운 것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6-1. 인지과학과 이야기 원리(narrative principle)

Mark Turner
영어학자(Ph. D), 수학자(MA)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문리과대학장, 인지과학과 과장
http://markturner.org/
그의 발표글, 인터뷰, 강연 등
http://markturner.org/publications.html
그리고 여기의 아래 자료, 즉 the new evolutionary enlightenment" 를 꼭 보세요
(다음 주소 중간의 영문으로 된 글)
http://ilevolucionista.blogspot.com/2009/09/linguistica-cognitiva-entrevista-mark.html

[인지과학과 문학의 연결]
인지과학은 언젠가 궁극적으로는 인간 마음의 결정적 산물이며
또한 인간 마음 활동인 문학을 연구하는 것이 요청될 것이다.
the study of literature는 인지과학과 문학의 수렴, 융합의 그 시점
 integration of [CS(인지과학) + Literature(문학)]
[인문학]과 [인간학-인지과학] 연결이 되어야 함.

이러한 추세에서, 인문학과 인간 본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수렴 융합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We may be seeing a coming together of the humanities and the science of human nature.”)
이러한 연결은: 인지과학과 문학, 예술의 수렴,융합,통합적 연결에 의해 가능하여진다.
즉 인문학과 인지과학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그렇게 하여 인문학자와 인지과학자들에게
 인간 마음/ 심적 활동과, 문학/예술 (이해) 의 괴리 불가함을 인식하기를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학문적 분위기의 떠오름이 진행되면.

예술과 인지과학의 연결은 간단히 말하여
1. … 예술은 인간 마음의 작동을 이해하는 데에서 주변적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다 (are not marginal for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 그렇기에,
2. 문학/예술가/인문학자들은
인지과학의 중요한 발견, 중요한 지적 발전을 무시하거나 모르고 있어서는 안 되며

3. 인지과학자들은
문학과 예술을 무시하거니, 다루지 않고서는 인간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없다

-과거에는 문학이 인지과학을 멀리하고 인지과학과 문학이 서로 연결이 없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이 두 영역이 수렴되고 있다.
그 이유? 그 바탕 개념적 융합: (conceptual blending)의 틀;
개념적 융합/혼성의 원리 이론은 다음의 책에서 제시됨;

<국내 번역된 책 소개>
원저명: “The way we think: Conceptual blending and the Mind’s hidden complexities.”
저자: Gilles Fauconnier, & Mark Turner;
출판사“ Basic Books; 2002, ISBN 0-465-08785-X; pp 440.

국내 번역판; 책 제목: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질 포코니에, 마크 터너 (지음); 김동환, 최영호 (옮김). 서울: 지호. 2009. 9.
ISBN 978-89-5909-051-8; 값 38,000 원; 624쪽.

-> 이 책에 의하면 시초의 인지과학은, 주로 기억, 학습, 기호적 사고, 언어습득 등과 같은 심적 과정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마음이 컴퓨터와 가장 닮은 심적과정들임.
그러나 지금의 인지과학은 더욱 점진적으로 보다 신비하고 창조적인 마음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가고 있다.
 이러한 변화 현상의 바탕을 제공하는 저자들의 이론
The theory of conceptual blending이다.


[개념적 융합(혼성)이란 무엇인가; 위키피디아 자료
http://en.wikipedia.org/wiki/Conceptual_blending ]
-개념적 유합(혼성)이란 인지의 일반이론으로서, 의식수준에서라기 보다는 하의식 수준에서 2개 이상의 상황(학문, 테크놀로지, 산업의 영역들/ 대상들/ 사건 들/ 일상적 생활-행위 장면 등에서)의 씨나리오의 요소들 그리고 핵심적 관계성이 결합, 융합, 혼성(blended)되는 과정을 지칭한다. 이 과정들이 인간의 인지와 행동, 특히 일상적 사고와 언어의 도처에 산재하여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적 융합은 창의성을 비롯하여 인간의 여러 인지적 현상을 설명하여 줄 수 있가도 볼 수 있다.

이상의 현재의 추세는 인문학, 예술, 인지과학을 연결하여 인간의 인지, 마음, 행동, 문화, 과학기술의 융합을 이해하는 (한국의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기업 등이 추구하는 융합적 인재 양육의) 새 틀의 이론적 기반을 시사한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적 혼성(융합)에서 한 발 더 나아가서 Mark Turner의 입장을 도입하고, 위의 5-0 절에서 제시한 이정모의 글의 요점을 결합하고, 그동안에 진행되어온 인지과학의 narraitive psychology 등의 접근을 연결하여 생각하여 보고, 최근의 인지과학 철학자 D. Dennet 등과, 1930년대의 영국의 심리학자 Sir S.C. Bartlett 교수의 주장을 연결하고, 최근의 수학자-영문학자-언어학자-인지과학자인 Mark Turner 교수의 주장을 따른다면 Turner교수가 이야기 하였듯이
“Story is a basic principle of mind." 이며
“ .. central issue of cognitive science are in fact the issues of the literary mind." 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나 자신의 일상의 정체성이건, 우리의 미래 모습이건,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생각이건, 특정 과학 주제이건, i-phone이건, 광우병이건, 광화문 공간 논쟁이건 간에 열심히 story를 만들어 내는 것에 바탕하여 우리의 존재가, 서로의 존재와 관계가 의미를 지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각자가 아침부터 밤까지(심지어는 꿈 속에서도) 열심히, 부지런히 ‘이야기’를 양산하여 내는 [작은, 그러나 powerful한, ‘story, 즉 narrative 생산 공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짜 내는 이야기 drarfts에 의하여 세상, 다른 사람, 나 자신을 보고, 이해하게 된다.

 이러한 추세 리뷰에서 밝혀지는 바는

ㄱ. 인지과학에서 밝혀진 인간 마음 작동의 원리는->
-인간의 마음은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마음임
-마음의 능동적 구성의 기본원리는
-이야기 만들기 (Narrative making)
-Narrative Principle에 의해 마음이 작동됨
 인간이 이야기 듣기, 말하기 좋아함
 모든 사건이나 대상을 이야기 틀에 맞추어 이해, 기억, 사고, 말함
F. C. Bartlett – 1930년대의 주장
D. Dennet – 1980년대의 multiple drafts 개념

ㄴ.. 종래의 문학(비평) 이론을 지배하던 페미니즘이나 구조주의, post 구조주의적 사고가 문학/현상의 설명의 한계가 있음이 이미 드러났다
 그들은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측면만 강조하였지
 그러한 문학활동의 대상이 되는 인간의 인지적, 신경적 측면에 대한 자연과학적 연구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을 무시하였다.
 그러나 실제의 인간은 진화역사적으로 변화/발달한 몸을 지닌 생물체 (자연 범주)인데, 과거의 문학, 적어도 문학(비평)이론은 이러한 문학적 산물을 내어놓고, 또 이해하는 인간이 자연의 존재라는 자연 범주 특성을 무시하여 왔다. (신경적, 인지적 작동원리를 무시함)

ㄷ. 문학작품, 예술, (TV 보기, 공감 등)과 관련된 인간 마음의 [자연과학적으로 밝혀지는] 숨겨진 복잡성 (hidden complexities)에 대한 인문학자들의 학문적 인식, 과학적 orientation의 수용이 없었다(인지과학적 의미에서).
아니,
예술작품 실제 생성 작업 현장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이미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것이나, 그러나 문학(비평)이론가들은 이러한 부면을 무시하여 왔다고 비판받을 수 있다. 그래서 미래의(현재 변화 추세 포함) 문학과 인지과학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고려하게 되는 바]
1.2. ; 다음의 A, B 두 관계를 먼저 생각하여 볼 수 있다.
3. 그리고 이러한 B형 내러티브의 일종인 [데카르트 식 존재론]과 이원론을 탈피하여 ‘마음’ 대신 ‘몸’을 강조하는 [스피노자 식 존재론]과 병행론의 전통을 이은 ‘체화된 마음, 체회된 인지(Embodied mind/ cognition)의 내러티브로의 전환을 생각하여 볼 수 있고
4. ‘인간은 인간, 인간이 만든 인공물은 인공물’의 2분법적 내러티브가 그동안 인류사회의 생각틀의 지주였음, 이것이 무너지며(인간과 인공물의 경계가 허물어지며)인공물의 중요성, 의의가 부각되는 미래; [몸(뇌 포함]-[환경(인공물 포함)]의 상호작용의 활동
5. 문화와 내러티브
6. (다시) 문학, 내러티브, 인지과학

================================

고려점1. 방향A. [인지과학  내러티브]

그래서, 대안 모색 ?
인지과학의 연구결과를 문학에 연결시키려는 시도들
계속하여 인지과학의 하나 또는 여러 분야(인공지능, 인지심리, 촘스키 이후의 언어학- 인지언어학, 심리철학, 신경과학, 진화생물학 등)와 교류하며
인지과학과 문학의 연결고리 분야를 발전시킴
 -Reuven Tsur (1992): cognitive poetics;
 -Mark Turner (1991, 1996). cognitive rhetoric
-1996. The literary mind. (Oxford U. Press) 
-Ellen Spolsky (1993). cognitive instability;

[인지과학  문학/ 내러티브] 작업의 방향

1. 심리학이나 인지과학이 밝힌 마음의 작동특성을 문학에 반영
2. 특히 인지신경과학적, 사회심리적 연구 결과의 수용 및 반영
3. 진화생물학, 진화생물학적 연구 결과를 수용 및 반영
-인간 존재는 내러티브가 문자가 있기 이전의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진화하여 온 과정의 역사적 산물임을 수용
 인간을 과학적 범주 존재로 보는 관점을 수용


고려점2. 방향 B. [내러티브  인지과학]

2.1.  인간 마음의 작동 기본원리1
= Narrative Principle; [agent – act] 의 주제;  확인 편향 개입 특성
-노벨상 수상 인지심리학자 Daniel Kahneman 교수의 confirmation bias & heuristic thinking 개념 연결
- 지각 등 여러 심적 과정에 내러티브 원리가 작동
- 기억, 이해, 사고의 의미 구조  내러티브 구조에 의하여 결정됨

2.2. 각광받는 뇌 연구와 내러티브
순수한 뇌 자체의 신경적 구조/ 과정에 대한 과학적 연구이기 이전에, 특정 뇌연구는 특정 내러티브의 틀에 의한 연구
(예; 뇌손상 환자 내러티브, 분할뇌 내러티브, 작업기억(Workin Memory) 틀 내러티브, 감정에 지배받는 이성(reason) 내러티브, 뇌손상에 따르는 성격 이상 내러티브 등의 전제 하에 그 틀을 확인/ 반증하기 위한 연구의 틀에서 뇌연구가 진행된다. ) 즉, 뇌과학적 연구는 과학적 연구이기 이전에 특정 주제 내러티브를 지닌 뇌에 관한 내러티브적 인지적 활동이다.


고려점 3. 체화된 마음 & narrative

심적 과정은 시공간적으로 방향지워진 세상 속의 몸 (body-in the world)에 의하여 경험되는 바에 관한 것이다. 경험하는 사람의 경험의 시공간적, [몸 중심의 환경과의] 내러티브적 상호작용성, 상황성 특성이 마음/인지에 반영, 표상된다.
인간 행위/ 인지는 몸 활동 기반의 내러티브 구조를 지닌다. (인터랙션과 내러티브)

*체화된 마음에 관한 한글자료는 3절 목록 참조*

고려점4. 인공물과 인간의 상호작용: 내러티브

A. N. Whitehead의 process존재론, actual occasion 개념과 연결되어
“ human minds and the things in nature are complex organizations of actual occasions"로 개념화할 수 있고

ㄱ. -인간과 소프트 인공물(언어, 경제/ 정치/ 행정 제도/관행/ 교육제도 틀/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이메일 프로그램 등)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려 한다면 이 인공물들이
==> 내러티브적 구성을 하고 그 틀에 의하여 우리의 일상의 정치, 경제, 교육, 문화 활동 등이 이루어짐

ㄴ. -인간과 하드 인공물(핸드폰, 내비게이션, 컴시스템 등 각종 도구 등)
==> 그 특성, 사용성 등이 인간의 일상의 적응활동의 내러티브적 행위 구조를 지배, 결정함
<- 인공지능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지능(NI) 시스템 구성 탐구/ 공학적 응용 고려점5. 문화 일반과 내러티브 Narrative는 A Key Concept for Cognition and Culture 이다. - Ana Margarida Abrantes - 내러티브는 “a possible interface between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study of culture.” 이다. - 이 주제에 대하여 추가 부연 요함: 참고문헌 - 이정모, 이재호, 이건효 (2004). ‘사이버 인지심리학의 개념적 재구성: 인공물과 인지의 공진화'.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권 4호, 365-391. 고려점6. 문학, 내러티브 인지과학: 다시 -인지과학-문학 상호작용 측면: 종합- ㄱ. 인지심리학 <-> 문학, 예술: 상호 영향줌
- 기억, 언어이해 및 산출, 정서, 사고 (중심)
ㄴ. 뇌 연구  문학, 예술: 한 방향으로 영향
-기억, 정서의 인지신경적 기제 중심
 [마음뇌]에 대한 인지신경적 이해가 그리 단순하지 않음을 깨달음
-> 뇌과학 지상주의의 재평가
ㄷ. 체화적 인지(마음)  문학, 예술: 한 방향
-문학, 예술 활동의 바탕이 (산출과 이해가) 인간 몸의 시공간적, 의미적 활동에 기초함을 인식함
*  2의 역 방향도 인정
ㄹ. 인공물, 인간-인공물 상호작용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학/예술 작품의 생성 및 이해에서는
인간-인간의 (또는 일부 소프트 인공물과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초점이 되는데,
미래의 문학/예술 에는 인간-인공물의 상호작용 측면도 부각되어야 함,
- 인간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행위, 활동에 대한 재개념화 필요
< 여기에서 상식적 의미의 수동적 인공물이 아니라, agent이고 being이며, 인간존재의 부분으로서의 인공물과 (인간 존재론의 수정: <- 제2의 계몽시대 -> 인간의 관계의 측면이 부각되어야

-다시 !
이러한 내러티브 산출, 이해하기, 기억하기, 활용하여 사고하기, 등은 인간의 삶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다.
 왜 그러냐 하면 인간의 마음은 본질적으로 내러티브(이야기) 엮기 원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니까
 내러티브와 인지과학의 밀접한 관계
 고로. 내러티브적 접근은 미래의 인지과학의 한 새 패러다임 축


7. 체화된 인지(인공물), 개념융합(혼성)과 내러티브의 인지과학적 연결

* 체화된 인지(인공물), 개념융합(혼성)과 내러티브의 인지과학적 연결 틀에 대하여는
앞으로 계속 추가적으로 탐색하고 통합적 틀을 생각하여 냄이 필요함
->는 2010년에 생각할 추후 과제

* 이러한 탐색이 어느 정도 정리되면(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시 자료를 올릴 예정임

///////////////////////////////////////////////////////////////////////////////
///////////////////////////////////////////////////////////////////////////////
=> 이하 21쪽부터는 내러티브와 인지 관련 자료 부록 추가됨
[ 부록: 인지와 내러톨로지]
===========================================

사람들은 그들이 마주치는 각종 경험, 사건, 개념을 의미 있는 것으로 엮어내려는 인지적 틀 (프레임 또는 스키마 = 조직된 지식 덩어리)을 가지고 삶을 살아가고 또 사건을 이해, 기억, 사고한다

사람들은 그들이 마주치는 예술적 산물에서 제기하는 특정 단서를 활용하여 특정 지식덩이(프레임, 스키마)들을 가동시켜서 인지활동을 전개한다. 그것의 대표적인 것이 내러티브의 이해와 산출(말하기 등)이다.

그것이 소설이건, 시이건, 신문기사이건, 방송 드라마이건, 교양특집이건, 뉴스이건 사람들은 자신이 동원한 지식 프레임(스키마)을 동원하여 대상에 대하여 자기 중심의 자기 나름대로의 이야기를 엮어 가고 또 그렇게 이야기를 이해한다.

인지내러톨로지는 내러티브가 인간 지식구조/ 인지과정을 구성하며 동시에 이에 의존함을 인정한다.

Narrative Psychology.com
http://web.lemoyne.edu/~hevern/narpsych/nr-neuro.html

- 정상이건 이상이건 신경계의 작동에서, 또 삶의 현실 도처에 내러티브가 내재함(the ubiquity of narrative in the construal of reality demands attention)
-일부 인지과학자들의 새 주장, 입장들
(특히 Turner(1997), Fauconnier & Turner (2002),
-터너 교수는 narrative가 in parable에 기초하여 있으며d metaphor are fundamental elements in everyday cognition itself. 임을 주장한다.
내러티브가 삶의 일상의 인지(마음)의 기본 요소임
-다른 인지과학자들의 관심: narrative 기술(skills) 발달 특성;
-how children begin to cast experience in story-like forms
- and learn to comprehend the elements of story such as agency, plot, character, and so on.
- Roger Schank; script theory model of cognition, case-based reasoning approach
“narrative as crucial to how humans think” 로 인정함
(Schank 1990, 1995; Schank & Abelson, 1995)
이것이 ‘Narrative Intelligence’ 연구로 발전: 인공지능 +
인지심리학 + 내러티브
- 이야기 구성 과정의 탐구 문제에 도전함
 subfield: "Narrative Intelligence" (NI).
Michael Mateas (1999), 관심: "the issues surrounding the construction of systems (인공지능체계)
-whether story systems, agents, or in other forms that produce behavior that humans can interpret as narrative.“
 [인지과학 + 인공물 + 내러티브]적 접근

[뇌 이상(손상), 신경전달 물질 이상과 내러티브]
=> 인간의 내러티브 산출, 이해 과정을 붕괴시킴
 자아 개념의 문제 발생
=> 성격, 적응의 문제
=> 재활의 문제
==> 기타 문제:
-감각, 지각, 운동, 기타 중추적 인지 기능의 이상 문제 다루기
Luria's (1972) ; Zasetsky, the ex-soldier "shattered world“ 극복 문제

<내러티브 심리학의 주제들>
The Self in Narrative
Autobiography
Personality, Psychobiography, and Psychology of the Life Story
Gay & Lesbian Identity
Neuropsychology & Cognitive Psychology
Adult/Gerontological Issues
Clinical Psychology
Psychotherapy & The "Healing Arts"
Psychoanalysis & Depth Psychologies
Psychology of Women
Therapeutic Recovery of Memory

<기타 분야의 관련 주제들>
Anthropology, Cultural Psychology, Folklore & Storytelling
Education
Documentary Studies, Journalism & Non-Fiction
History
Law
Linguistics & Semiotics, Psycholog of Language
Medicine, Nursing, and Health Care
Genocide Studies
Sociology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대표적 내러티브 인지과학자들]

Jerome Bruner
Gilles Fauconnier
David Herman
Alexander Luria
Mark Turner
Owen Flanagan

이러한 융합적(한국적 상식적 용어로는 융합적이나, 엄밀한 의미로는 수렴적임) 시도(endeavors)가 다루게 되는 내러티브 관련 주제의 예로는;

1. 의식 발달에서의 내러티브의 역할
2. 내러티브 / 자전적 기억
3. 자서전적 내러티브와 FICTION
4. 내러티브의 와해와 자아 개념의 구성
5. 내러티브와 의식의 구현의 신경적 기초
6. 역사학의 내러티브적 특성
7. 인지 내러톨로지

등이 있을 수 있다.

Monday, December 7, 2009

체화된 마음: 심리학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웹진 2009 겨울호 기사

한국연구재단이 사회과학협의회와 연계하여 발행하는 "사회과학 웹진' 겨울호에
다음의 기사가 실렸습니다,
. 2009.4호(겨울호) [사회과학 연구동향] 기사

제목: "체화된 마음: 심리학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
- 이정모 (성균관대 심리학)

http://110.45.139.211:8080/sub/content_view.jsp?I_idx=6&B_idx=2&M_idx=100#

* 링크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를 위하어 아래에 원문을 제시합니다 *

======================================================


제목: 체화된 마음: 심리학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

- 이정모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심리학) -


심리학이 하나의 경험 과학으로 독립한 이후에 심리학의 연구 대상인 마음과 행동 현상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 틀은 계속 변하여 왔다. 지금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이라는 한 새로운 접근이 점차 그 패러다임적 지위와 세력을 넓혀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 틀의 요점을 개괄하고, 이러한 새로운 보는 틀이 심리학과 인접학문에 주는 시사를 살펴보려 한다.

1. 심리학의 패러다임의 변천사

1879년에 빌헬름 분트가 당시의 독일의 자연과학 학계에 하나의 주요 흐름을 차지하던 실험생리학과 실험물리학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심리학을 하나의 실험 과학으로 출발시킨 이래 벌써 130여년이 흘렀다. 독립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의 출발은 그 이전까지는 주로 철학에서 학자들의 주관적 논리적 분석에 의하여 다루어 왔던 심리 관련 여러 주제들에 대하여 객관적, 경험적 탐구를 시작하게 하였다. 분트는 연구방법으로 철학전통의 내성법에 더하여, 물리학과 생리학의 실험법, 그리고 인류학, 역사학 등의 문화역사적 분석법을 엮어 심리현상의 전 범위에 걸쳐 경험적 탐구를 진행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의 심리학은 주로 실험 중심의 경험적 방법을 도입한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초기에 가장 대표적인 경험적 접근 틀이 바로 행동주의 심리학이었다. 미국에서 기능주의 심리학을 배경으로 형성된 행동주의 심리학은 의식이라든가 마음이라는 개념을 주관적 개념이라고 하여 심리학에서 사용하는 것을 배격하고 객관적으로 관찰가능한 외적인 행동에 대한 기술만이 심리학이 할 일이라고 주장하며, 심리학의 본래의 주제인 마음의 개념을 심리학에서 제거하였다.

이러한 극단적 객관주의의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한 대안으로 195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인지과학을 출발시키고 심리학에서 그 입지를 확고히 한 고전적 인지주의(Classical Cognitivism)는 인간과 컴퓨터를 유사한 정보처리적 원리를 지닌 시스템으로 보고, 이 정보처리시스템의 정보처리 과정과 구조를 밝힘을 통하여 마음의 문제를 접근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마음의 작동 원리를 논리적 형태의 규칙 도출과 같은 형식적 접근에 의하여 기술할 수 있다고 보았다. 모든 심적 현상은 상징(기호적) 표상을 마음의 내용으로 형성하며 이를 활용하는 과정인 계산(computation)적 정보처리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라는 기본 입장이 고전적 인지주의의 핵심이었다. 그들은 정보처리적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적 원리를 강조한 나머지, 그 원리가 하드웨어적으로 뇌에 의해 구현되건 컴퓨터 칩에 의해 구현되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는 중다구현의 철학적 관점을 도입하였다.

마음 현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뇌의 중요성을 무시한 이 고전적 인지주의가 드러내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1980년대 중반에 대두된 신경망적 접근 또는 연결주의(connectionism)는 마음의 작동이 그 신경적 기반 구조인 뇌의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보고 이론적 뇌 모델의 기본 단위인 세포들 간의 연결강도의 조정 중심으로 마음의 작동 특성을 개념화하였다. 이후에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중심 위치를 점유한 것은 신경과학적 접근이었다. 신경과학적 접근은 연결주의가 실제의 뇌보다는 이상화된 이론적 뇌를 상정하여 놓고 이를 모델링한다는 등의 문제점을 수정하여, 실제의 뇌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탐구를 뇌영상기법 등을 발전시켜 탐구하였고, 이러한 인지신경과학적 접근이 현재의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한 핵심 접근 틀로써 자리잡고 있다.


2. 새로운 틀: 체화된 마음 접근

이상의 접근들, 특히 고전적 인지주의, 신경심리적 접근들이 심리현상의 많은 특성을 밝혀주기는 하였다. 인지주의의 대표적 성과로는, 인공지능 등 디지털 시대 출발의 개념적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이외에도, 과거의 사회과학의 대 전제인 ‘인간 이성은 감정이 개입되지 않는 한 합리적이다“라는 전제를 실험결과를 통하여 붕괴시킨 것이었다. 프린스턴대의 인지심리학자인 카네만 교수는 이 연구로 2002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인지신경과학적 접근의 대표적 성과의 하나는 인간의 모든 인지적 과정, 특히 판단과 결정의 밑바탕에는 정서(감정)적 요소가 놓여 있다는 인지신경과학적 연구 결과였다. 미국 USC의 신경과학자인 다마지오(A. Samasio) 교수 등의 연구 결과이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심리학적, 인지과학적 접근들이 간과한, 또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는 논의가 1980년대 후반 이래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고, 21세기 초인 현 시점에서 그러한 관점들은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또는 embodied cognition)이라는 개념적 틀로 수렴되어 점차 그 이론적 형태를 가다듬으며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패러다임 전환의 새로운 대안적 틀로서 그 세를 확산하고 있다.

서구 이론심리학자들에 의하면, 현재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심리학과 인지과학이 과거 1950년대의 인지주의의 떠오름 시점보다도 더 드라마틱한 전기를 맞고 있으며, 그것은 주변 학문들에 상당한 영향을 주리라고 보고 있다. 이 체화적 접근의 등장은 과거에 사회과학의 기반이 되어온 전통적 데카르트적 존재론/인식론에 바탕을 둔 ‘마음’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몸’을 지니는 유기체로서의 인간이 몸을 통하여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상에서 출현하는 인간의 ‘행위’로서의 ‘마음’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 접근은 인간의 마음 또는 인지가, 개인 내의 뇌 속에 표상된 내용이라고 하기보다는, 구체적인 몸을 가지고(embodied) 환경에 구현, 내재되어(embedded) 환경에 적응하는 유기체인 인간이 환경과의 순간 순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행위 역동 상에서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마음, 몸의 활동뿐만 아니라 문화, 역사 등의 사회적 맥락, 그리고 기타 (인공물(소프트웨어, 하드웨어)과 자연적 대상의) 환경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구성되고 결정되는 그러한 마음임을 강조하는 접근이다.

이러한 접근은 아직은 하나의 통일된 이론적 틀로 가다듬어지지 못한 채, 다소 산만하게 여러 이름 아래서 전개되고 있고, 또한 전통적 과학적 방법론의 바탕인 경험적 접근과의 연결을 어떻게 이루어 내는가의 큰 과제를 안고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과거 인지주의 심리학에서 배제되었던 ‘몸’을 마음의 바탕으로 되찾게 하며, 그 체화된 마음과 분리될 수 없는 환경을 인지과학과 심리학에 되살려 놓게 하며, 공간적 연장이 없는 마음(데카르트적 입장)이 아니라 몸에 바탕을 두고 환경에 연장된,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스피노자적 틀)으로 마음을 재개념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아니 그래야 하는 필연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에 자연적으로 뒤따르는 논의는 현재의 과학자들과 일반인이 지닌 생각, 즉 ‘마음은 곧 뇌이다’라는 뇌지상주의적 생각에 대한 비판이다. 체화적 마음 입장은 ‘뇌를 넘어서’는 마음의 관점이다. 국내 번역된 철학자 알바 노에의 책에서 이미 지적된 바와 같이 ‘뇌 = 마음’이라는 기존의 관점은 데카르트의 존재론, 인식론에 바탕을 둔 잘못된 관점이며, 우리는 몸에, 그리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활동의 마음 관점으로 옮겨가야 한다는 것이다, 스피노자, 듀이, 메를로퐁티, 하이데거, 르꾀르 등 인문학자의 생각을 심리학, 인지과학에서 진지하게 다시 음미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20세기 초의 행동주의심리학이 마음을 심리학에서 배제하였고, 1950년대 이후의 고전적 인지주의가 그 마음을 심리학에 되찾아주었지만 뇌의 역할을 무시하였고, 1980년대 이후의 인지신경과학이 마음을 다시 뇌 속으로 넣어주었지만 뇌를 제외한 몸의 역할을 무시하고 데카르트식 “마음 = 뇌신경 상태”의 관점을 전개하였다면, 이제 21세기에서 체화적 관점을 통하여 그 뇌를 몸으로, 그리고 다시 그 몸을 환경으로 통합시키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음은 뇌 속에서 일어나는 신경적 상태나 과정이라고 하기보다는 신경적 기능구조인 뇌와, 뇌 이외의 몸, 그리고 환경의 3자가 괴리되지 않은 하나의 통합적 단위체인 총체 상에서 이루어지는 행위 중심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 몸을 배제한, 체화되지 않은 개념으로는 인간-인간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인간-인공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없다.

마음에 대한 개념화의 보는 틀이 이렇게 바뀌게 되면 기존의 심리학이 크게 재구성되어야 한다. 환경과의 심적 역동적 상호작용은 몸에 의존하며, 따라서 언어 또는 사고 등의 고차 심적 기능도 이러한(감각 및 운동) 기초의 제약과 허용 틀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지각은 능동적이며, 행위는 감각, 지각에 의해 인도되며, 신경계, 몸, 환경 요인이 실시간 상에서 상호작용하는 것임을 이해함을 통하여 마음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전반적 계획이나 통제가 없이 분산된 단위들의 지엽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자가조직적으로, 창발적으로 출현하는 것이 심적 현상이며, 마음은 환경에 확장된, 상황지어진 것으로 분석, 이해되어야 하며, 실험실 등의 인공적 상황에서 탐구될 것이 아니라 자연적, 생태적 상황에서 맥락이 고려되어서 이해되어야 하며, 역동적 시간 경과와 상호작용성을 다루기에 적절한(동역학적 이론모델의 도입) 수리적, 형식적 접근을 통하여 탐구되어야 하며, 신경생물학적 가능성이 반드시 고려되며, 현상이 과정이 어떻게 체험되는가 하는 가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도 설명적 구성요소로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3. ‘체화적 마음’ 틀의 시사.

마음 개념을 이렇게 재개념화하는 것은 심리학 자체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을 비롯한 주변 학문 및 실제 응용 분야에 상당한 시사를 지닌다.

심리학 내에서는 기존의 감각, 지각, 기억, 언어, 사고, 발달, 동기, 정서, 성격, 적응 등의 주제 관련 심리학 분야와 사회심리, 임상심리, 건강심리, 상담심리, 공학심리 등의 분야의 이론과 실제가 상당히 변화되어야 하리라 본다. 이 접근이 다른 면에서도 심리학의 주제와 영역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있다. 환경 속의 인간 그리고 행위주체(agents)로서 존재할 로봇 등의 인공물과 몸을 통하여 상호작용하는 행위 현상 일반이 심리학의 주요 분석대상이 된다면, 심리학은 생체로서의 인간 및 동물 자체뿐만 아니라 현재, 그리고 미래에 존재하게 되는 온갖 유형의 인공물, 특히 행위주체자로서 작동할 로봇과 같은 인공물, 인간의 몸이나 인지와 경계가 없는 그러한 미래 인공물과 인간의 상호작용도 탐구하는 학문이 되리라 본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여러 사회과학, 공학이 다루는 역동적 상황들, 연구영역들이 심리학의 영역으로 포섭,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로봇 연구에서 로봇의 인지적, 정서적 반응, 로봇-로봇 상호작용, 로봇-인간 상호작용, 인간-로봇매개-인간 상호작용 등의 영역이 심리학의 영역이 되게 되는 것이다. 심리학의 내연과 외연이 확장되는 것이다.

인접학문에의 영향을 본다면, 먼저 인문학 분야에서, 이러한 개념적 틀을 제공한 학문인 철학이 존재론과 인식론의 전개에서 데카르트적 틀의 대안적 틀에 대하여 보다 수용적이고 많은 정교화 작업을 하며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 접근의 이론적 기초를 계속 가다듬어 주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언어학에서는 인간 언어의 바탕이 몸의 감각 운동적 활동에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기존의 형식적 접근 중심을 수정하고 인지언어학의 비중이 더 커져야 하리라 본다.

사회과학에서는 교육학, 사회복지학, 경제학, 법학, 정치학,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인류학 등에서 이러한 체화된 마음 측면이 고려된 인간행동-사회 현상의 이해 및 이론틀의 재구성이 있어야 하며. 언어치료 등의 개인적 또는 사회적 집단의 인지나 행동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실제 응용장면에서 보다 효율적 실용적인 접근 틀이 재구성되어야 한다. 스포츠 교육 분야나 광고-마케팅 관련 분야도 이러한 재구성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예술 분야에서는 인간의 예술적 퍼포만스와 관련하여 기존의 실제 예술적 퍼포만스의 수행과 그에 대한 교육에서는 이미 이러한 체화적 마음의 입장이 도입되어 실시되어 왔다고 볼 수 있는데, 반면 예술이론 작업 측면에서는 기존의 심리학 이론 틀의 미흡으로 인하여 실제 예술적 퍼포만스와 다소 거리가 있는 이론이 전개되어 왔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족함이 이 새 틀의 도입으로 보완되어야 하리라 본다. 또한 체화된 마음의 내러티브적 측면, 즉 마음의 작동 기본 원리가 몸의 활동에 바탕을 둔 내러티브 구성이 중심이라는 인지내러톨로지 학자들의 주장을 고려한다면 기존 문학이론 분야도 변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공학 분야에서는 인공지능, 로보틱스 분야가 직접적으로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학문적, 실용적 연구 틀이 상당히 변화되어야 하리라 본다. (사실 체화적 접근이 부각되게 된 직접적 영향의 하나는 MIT의 로보틱스 연구자들이 이 관점의 중요성을 깨달았던 데에 힘입은 바 크다.) 또한 핸드폰, 내비게이션 등의 현재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디지털 도구 등의 디자인 산업은 도구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데 그 상호작용의 핵심이 몸을 사용한 감각-운동 중심의 인간의 심적 활동에 있다면 기존의 디지털 기계/도구 및 환경 디자인(공학 포함)의 틀이 대폭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뇌연구 결과의 의의에 대하여 과장된 맹신을 일반인에게 부추키어 온 뇌지상주의적 오해가 수정되어야 한다. 뇌연구의 제한점이 인식되어야 한다. 뇌 연구가 앞으로도 인간 삶에서 계속 중요하기는 하지만, 우리는 그 과학적 설명의 한계를 인정하고 뇌 지상주의를 넘어서야 한다. [‘마음은 곧 뇌이다’가 아니다]라는 문제에 대하여 과학철학적, 심리철학적 논의가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이론적 바탕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여러 측면을 고려해 본다면, ‘체화된 마음’ 관점은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 공학, 자연과학을 연결하는 융합학문적인 중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공학 학자들이 다른 곳에서 융합적 주제를 찾아 연목구어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한국연구재단의 ‘사회과학웹진’ 2009년 4호 (겨울호 ; 12월); ‘사회과학 학문동향’ 게재용 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