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의 나무
Der Baum der Erkenntnis
---------------------------------------------------------------------
<출판사의 안내문>
인간 인지능력의 생물학적 뿌리!
‘생물학에서의 과학혁명’을 이끈 마뚜라나와 바렐라의 역작!
갈무리 출판사는 마뚜라나의 사상이 한국 사회에서 좀 더 소개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2006년 4월에는 마뚜라나의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를 출간했고, 올해에는 <앎의 나무>를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1995년에 출간된 <인식의 나무>를 다시 출간한 것이지만
<인식의 나무>에는 없던 쿠르트 루데비히의 <독일어판 옮긴이 머리말>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1992년 영어판 <후기>를 새로 추가하고, 주요 용어와 본문을 영어본과 비교하여 다듬고, 본문의 그림을 컬러로 인쇄하여 독자들이 마뚜라나와 바렐라의 사상을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게 개정 보완한 것입니다.
이 책의 출간이 1995년판 <인식의 나무>가 절판되어 안타깝게도 책을 구할 수 없었던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
;지은이: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옮긴이: 최호영
출판일: 2007년 5월 5일
판형: 변형신국판(145×215)
쪽수: 312쪽
;정가: 15,000원
;출판사: 도서출판 갈무리
ISBN: 978-89-86114-97-3 04300
978-89-86114-21-8 (세트)
;도서분류 : 1.사회과학 2.생물학 3.교육학 4.인문학 5.심리학 6.언어학
차례 1. 이 책의 의미 2. 이 책의 소개 3. 지은이;옮긴이 소개 4. 마뚜라나의 대담집 5. 책 머리에 6. 차례
----------------------------------------------------------------
20세기 초 물리학에서 그랬듯이 오늘날 생물학에서 과학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여기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다. 이들은 이 책에서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처음으로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선보이고 있다.
이 도서의 국립중앙도서관 출판시 도서목록(CIP)은 e-CIP 홈페이지(http://www.nl.go.kr/cip.php)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IP제어번호: CIP2005002046 / 301.52-KDC4 / 325.4-DDC21)
1. 이 책의 의미
20세기 초 물리학에서 그랬듯이 오늘날 생물학에서 과학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여기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사람이 바로 신경생물학자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다. 이들은 이 책에서 삶과 앎의 근본과정에 관한 자신들의 체계관(Systembild)을 처음으로 일반인도 알기 쉽게 선보이고 있다.
이 체계관은 생물학의 세계관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적인 세계관까지 뒤엎고 있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 따르면 생물이란 환경에 되도록 완벽하게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생물은 객관적인 바깥세계에 노예처럼 얽매여 있다. 그러나 마뚜라나와 바렐라가 주장하는 체계생물학에서 ‘객관적’ 실재란 존재하지 않는다. 생명체는 ― 따라서 또한 인간은 ― 삶에 필요한 근본조건들만 채운다면 이미 있는 것들에 그저 반응하는 대신 스스로 자유롭게 자기 세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체는 겉보기에 객관적인 실재의 창조에 결정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이 과정을 환히 밝히는 것이 바로 지은이들의 연구목표다. 인류 역사 속에서 특히 현인과 신비주의자와 철학자들이 주장해 온 주체와 객체의 통일, 나눌 수 없는 존재의 전체성이 이제 여기서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증명된다.
2. 이 책의 소개
;앎의 나무;, 구성주의의 고전
에셔의 <그림 그리는 손>. 무엇이 진짜 손인가? (본문 32쪽)
칠레의 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인 마뚜라나(Maturana)와 바렐라(Varela)가 함께 쓴 『앎의 나무』는 요즘 여러 학문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고전이라 할 수 있다. 구성주의란 지식 또는 진리가 객관적 실재(reality)의 반영이라기보다 인식자(knower)가 구성해낸 것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입장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인식 주체의 속성이 반영된 지식을 주관적이고 따라서 열등한 지식으로 보며 지식에서 주체의 속성을 최대한 제거해야만 비로소 ‘객관적 진리’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런 객관주의적 과학관(objectivist view of sciences)에 반대하는 구성주의자들은 이른바 ‘객관적 진리’의 주체적 성립조건에 대한 성찰이 포함되어야 비로소 온전한 지식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그런 뜻에서 성찰적인 과학관(reflexive view of sciences)을 주창한다.
생물은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적 자율적 체계다!
인식자의 속성이란 관점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이트는 인식자의 무의식적 조건을 문제 삼았으며 맑스는 인식자의 계급적 조건을, 비트겐슈타인은 언어적 조건을, 여성주의자들은 성적 조건을 문제 삼았다. 이와 달리 생물학자인 지은이들의 관심은 인식자의 생물학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있다.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의 구성요소들을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는 ‘자기생성체계’(autopoietic system)라고 본다. 자기생성체계는 자기 작업을 통해
히에로니무스 보스 <가시면류관>
확실한 것은 무엇인가? (본문 21쪽)
자기를 정의하고 실현하므로 자율적인 체계다. 바렐라에 따르면 어떤 체계를 컴퓨터처럼 타율적 체계 또는 통제된 체계로 볼 때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우리의 근본 범주는 ‘명령’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잘못’이다. 반면에 자율적 체계로 볼 때 근본 범주는 ‘대화’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는 ‘이해의 단절’이다. 다윈주의의 영향을 받은 과거 생물학에서는 생물을 환경에 적응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매우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다. 그러나 지은이들은 생물이 자기생성의 역동성을 바탕으로 각 종마다 독특한 자기의 환경을 산출(bring forth)하며 이것이 바로 생물학적 인지활동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지은이들은 생명현상과 인지현상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최신 체계이론과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개념들을 사용해 구체화하고 있다. 예컨대 생물의 ‘자연표류’(natural drift)를 통한 계통발생, 생물과 환경의 ‘공진화’(co-evolution), 생물과 신경계의 ‘작업적 폐쇄성’(operational closure), 생물들 사이의 ‘구조접속’(structural coupling)을 통한 사회적 현상의 출현, 재귀적 행동조정을 통한 언어의 출현 등등. 언뜻 보기에 생경한 개념들이지만, 이것들은 그저 새로운 단어가 아니라 ‘객관적’ 세계를 가정하는 고정관념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켜 사고의 새로운 차원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런 모든 것들을 통해 지은이들이 말하고자 하는 근본명제는 인식 주체와 객체의 나뉠 수 없는 통일성이다. 지은이들의 표현을 빌리자면 “함이 곧 앎이며 앎이 곧 함이다.”
3. 지은이․옮긴이 소개
[지은이] 움베르또 마뚜라나(Humberto R. Maturana, 1928~ )
1928년 9월 14일 칠레 산티아고 출생이며 인지생물학자이자 철학자이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와 함께 베이트손, 비트겐슈타인의 경로들, 비코의 사회적 “의지”, 폴 바이스의 자기생산(self-production),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뒤를 이어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창안했다. 또한 신경생물학의 경험적 연구들을 기반으로 세워진 상대주의적 인식론인 급진적 구성주의의 정초자들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947년 리쎄오 마누엘 데 살라스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뒤에 칠레의 의과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했으나 같은 대학에서 생물학으로 학위를 마쳤다. 1954년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을 지원받아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해부학과 신경철학을 연구했다. 1958년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칠레 대학의 “인식 생물학” 센터에서 신경과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연구 프로그램 속에서 자신의 이론을 정교화하는 데에 평생을 바치고 있다. 실재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이 하나의 감각적인 공통의 구성물이라는 테제를 입증하기 위해 계속 힘을 쏟고 있다.
주요 저서로 『자기생성과 인지』(Autopoiesis and Cognition, Varela와 공저, 1980), 『인식: 실재의 조직과 구현』(Erkennen: Die Organisation und Verkorperung von Wirklichkeit, 1982),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VOM SEIN ZUM TUN, 2004; 갈무리, 2006) 등이 있다.
프란시스코 바렐라(Francisco J. Varela, 1946~2001)
칠레 태생으로 하버드대학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칠레,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의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가르치고 연구했다. 스승이자 동료인 마뚜라나와 함께 ‘자기생성(autopoiesis)’ 개념을 생물학에 도입한 것으로 유명하다. 대표 저서로 『생물학적 자율성의 원리』(Principles of Biological Autonomy, 1979), 『마음의 구현』(The Embodied Mind, Thompson & Rosch와 공저, 1991) 등을 꼽을 수 있다.
[옮긴이]
최호영(Choe Hoyoung, 1962~ )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구성주의에 관한 과학론적 연구로 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이며, 옮긴 책으로는 『마인드 해킹』(황금부엉이, 2006), 『낙관주의』(출판예정) 등이 있다.
4. 움베르또 마뚜라나의 대담집
;있음에서 함으로;(서창현 옮김, 갈무리, 2006)
인지생물학의 거장 움베르또 마뚜라나가 선언한 인지 패러다임의 새로운 전환에 대한 밀도 있는 대담! 이 책은 우리의 인지력의 한계를 탐구하고, 지각에서의 진리, 사랑의 생물학에 대해 토론하며, 현실적이고 상상력이 가득 찬 풍부한 일화를 들어가면서 체계론적 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하고 있다.
5. 책 머리에
독자들이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이 책은 그저 인식의 생물학적 과정을 소개하는 또 한 권의 평범한 입문서가 아니다. 이 책은 인식의 생물학적 뿌리를 이해하기 위한 대안적 관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먼저 독자들에게 경고할 말이 있다. 이 책에서 펼쳐질 생각들은 아마 독자들의 평소 생각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인식이 ‘저기 바깥에 있는 바로 저’ 세계의 표상(Repräsentation)이 아니라 삶의 과정 속에서 ‘어느 한’ 세계를 끊임없이 산출하는 일(Hervorbringen)이라는 관점을 제시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엄격한 논리적 절차를 따라서 개념과 생각들을 발전시킬 것이다. 개념들 전체가 그물처럼 얽혀 나눌 수 없는 하나로 될 때까지 개념들을 차곡차곡 쌓아갈 것이다. 때문에 이 책을 대강 건너뛰며 읽지 않길 바란다. 대신 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도 있듯이 그림과 사진을 많이 실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밖에 각 장의 앞에 주요 개념들을 그물도형으로 엮어놓아 우리의 개념적 노정을 표시했으며, 또 본문에 따로 설명 상자들을 두어 핵심적인 생각과 개념들을 간추려 놓았다. 이것들은 우리의 논의가 그때그때 어느 단계에 와 있는지 독자 스스로 짚어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 1980년에 미주기구(美洲機構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는 앎의 사회적 소통과 전달 분야에서 직면한 많은 어려움들을 이해하고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칠레 정부의 기획부 직원이었던 벵케(R. Behncke)는 미주기구 회원들에게 인간 의사소통의 생물학적 기초를 집약해 서술하는 형태로 우리의 관점을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미주기구가 이 제안을 받아들여 우리와 계약을 맺었다. 그래서 1980년 9월부터 사회사업가와 경영자가 대다수였던 청중을 상대로 우리 둘이 번갈아가며 몇 차례 강연을 하게 되었다.
그 뒤 몇 년 동안 강연내용을 글로 옮기고 샅샅이 손질을 보아 1984년에 미주기구 회원교육용 내부책자로 펴내게 되었다. 이 책을 다시 한 번 교정하고 세부사항을 늘린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우리는 미주기구가 보인 관심과 재정지원, 그리고 이 책을 이제 국제적으로 출판할 수 있도록 허락해준 데 대해 감사한다. 이 사업을 실현하기 위해 열과 성의를 다해 뛰었던 벵케에게 각별한 고마움을 표한다. 그밖에 이 책에 그림을 그려준 올리바레스(F. Olivares)와 그의 동료들에게 감사한다. 이 모든 분들과 단체들의 협력이 없었다면 이 책은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이 책에서 펼칠 생각들의 역사에 대해서도 한마디 하고 싶다. 그것은 마뚜라나가 기존 생물학의 전통을 벗어나기 시작했던 1960년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생명체를 환경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대신에 생명체가 실현되는 과정 자체를 통해서 생명체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런 관점에서 10년 동안 씨름한 그는 1969년 「인지의 신경생리학」이란 논문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견해를 또렷이 표현했다. 이 논문에서 그는 생명체의 순환적 조직과 신경계의 비표상적 작동방식에 관한 핵심 견해 몇 가지를 서술했다. 1960년대 중반에 마뚜라나 밑에서 공부한 바렐라는 1970년대부터 동료로서 칠레대학에서 함께 일했다. 우리는 생물학적 현상 일반을 새롭게 개념화하는 작업을 계속하여 1973년에 자기생성과 생명체의 조직에 관한 책을 발표했다. 그리고 이 두 기초 연구를 하나로 모아 놓은 것이 바로 자기생성과 인지란 책이다.
1973년 칠레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 때문에 우리는 서로 멀리 떨어져 각자 자기 방식대로 연구를 계속해야만 했는데 그동안 새로운 이론적·실험적 분야들을 개척할 수 있었다. 1980년에 주변상황이 바뀜에 따라 우리는 다시 칠레 산티아고에서 공동연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우리 둘이 그때까지 함께 또는 따로 발전시킨 생각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우리는 이 책이 약 25년 전 마뚜라나의 첫 직관에서 출발해 현재 우리가 공유하는 생명과 의식에 관한 견해들을 새롭고 알기 쉽게 종합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책은 무엇보다도 독자들이 이제까지 확실하다고 여겨온 것들을 떨쳐버리고 사람다움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새로운 관점에서 보자고 독자들을 초대하는 글이다.
1987년 봄
움베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6. 『앎의 나무』차례
;머리말|7
;독일어판 옮긴이 머리말|11
1 앎을 알기|21
2 생명체의 조직|43
3 역사: 생식과 유전|69
4 ‘메타세포체’의 삶|89
5 생물의 자연표류|111
6 행동의 영역|141
7 신경계와 인식|163
8 사회적 현상|203
9 언어적 영역과 인간의 의식|233
10 앎의 나무|269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후기|283
;옮긴이의 말|289
;용어풀이|297
;찾아보기|300
Search This Blog
Subscribe to:
Post Comments (Atom)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 Facebook: (Jung-Mo Lee)
- Home in Academia site :(Jung-Mo Lee)
- i- Naver Blog (Jung-Mo Lee) (Korean; 한글)
- Jung-Mo Lee 's SKKU homepage ( in Korean)
- Jung-Mo Lee 's VITAE/ homepage (in English)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KSCBP)
-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KSCS
- 인지과학 설명: 1. http://cogpsy.skku.ac.kr/cwb-data/data/cogscience/1-cognisci-intro-hwptxt-jml1.pdf
No comments:
Post a Comment